팜유 대신 소기름으로 튀겼다…삼양, 36년만에 '우지 파동' 오명 씻는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다음달 '삼양라면1963' 출시 삼양식품 CI. 삼양식품이 소기름(우지)으로 튀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내놓는다. 1989년 '우지' 파동으로 국내에서 우지라면이 사라진 이후 36년 만이다. 2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다음달 우지라면인 '삼양라면1963'을 출시한다. 이를 알리는 신제품 발표 행사도 진행한다. 제품명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했던 1963년을 기념해 지은 것이다. 소기름으로 튀겨 고소하고 풍미가 좋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출시될 전망이다. 우지파동은 1989년 삼양식품 등 일부 기업이 식품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우지를 사용해 라면을 튀겼다는 논란이다. 이후 당시 보건사회부 조사 결과 우지에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지만 이 사건으로 우지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남으면서 라면업계에서는 우지 라면을 만들지 않아왔다. 이후 삼양라면은 라면 면발에는 우지를 쓰지 않고 팜유만 사용했다.
기사 본문
삼양식품, '소기름'으로 튀긴 라면 출시 준비 별첨 우골 액상 스프로 국물도 보강해 삼양라면 브랜드 첫 '프리미엄급 라면' 그래픽=비즈워치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소기름으로 튀긴 라면)'을 다시 선보인다. 국내에 우지 라면이 다시 등장하는 건 1989년 우지 파동으로 명맥이 끊긴 이후 36년 만이다. 36년 만에 부활 21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신제품 '삼양라면1963'을 오는 11월 출시할 계획이다. 삼양라면1963의 가장 큰 특징은 '우지(牛脂)'로 면을 튀겼다는 점이다. 우지로 튀긴 라면은 풍미가 좋고 고소한 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1963년은 삼양라면이 출시된 해다. 삼양라면을 처음 만들었을 때처럼 우지로 면을 튀긴 제품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그렇다고 60년 전 라면을 그대로 가져온 건 아니다. 요즘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춰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중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넣는다. 국물의 진한 맛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기사 본문
더스쿠프 투데이 이슈 삼양식품, 11월 '삼양라면 1963' 출시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36년 만 공업용 우지 논란은 무죄로 결론났지만 단종됐다 이번에 프리미엄 라인으로 부활 불닭볶음면 이후 1세대 전성기 다시 쓸까 초창기 삼양라면 포장지 디자인 변화. [사진 | 삼양식품 홈페이지] 삼양라면은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으로 1963년 9월에 출시됐다. 삼양식품은 자사 홈페이지에서 "창업주인 전중윤 회장은 60년대 초 우연히 남대문 시장을 지나가다가 사람들이 한 그릇에 5원하는 꿀꿀이죽을 사 먹기 위해 길게 줄을 선 것을 보고 서민들의 배고픔을 해결해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배경을 소개하고 있다. 힘겹게 보릿고개를 넘기던 당시 국민들이 처음으로 접한 라면은 어떤 맛이었을까. 초창기 삼양라면은 동물성 지방인 소기름(우지)에 튀겨 판매됐다. 그러다가 1989년 이른바 '우지 파동'을 겪은 뒤 식물성인 팜유로 전면 교체됐고, 원조 삼양라면은 단종됐다. 그럼에도 "과거 우지 라면의 풍미와 고...
기사 본문
1963년 삼양식품이 국내서 처음으로 선보인 인스턴트라면 삼양식품이 소기름(우지)으로 면을 튀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선보인다. ‘삼양라면 1963’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최초 라면 출시를 기념하고 과거 ‘우지 파동’으로 얼룩진 이미지를 회복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다음 달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삼양라면 1963’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우지를 사용해 면을 튀기는 전통 방식을 살리면서, 최근 소비자 입맛에 맞춘 프리미엄 라인으로 개발됐다. 국물라면 중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넣어 국물 맛을 진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가격은 개당 1500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삼양라면은 1989년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의혹으로 ‘우지 파동’을 겪으며 시장 점유율이 급락했다.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 전신)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삼양식품의 이미지는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삼양식품은 라면을 팜유로만...
기사 본문
1989년 단종됐던 삼양 라면 ‘삼양라면1963’으로 재출시 1963년 최초의 삼양라면. 삼양식품.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다가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으로 단종됐던 삼양라면이 ‘삼양라면 1963’으로 이름을 바꿔 36년 만에 돌아온다. 일반적으로 팜유로 면을 튀기는 것과 달리 이 제품은 과거 삼양라면처럼 소기름을 사용한다. 21일 삼양식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신제품인 ‘삼양라면 1963’을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며 출시행사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1963은 삼양라면이 첫 출시됐던 1963년에서 따온 상품명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삼양라면 1963’은 면을 튀길 때 소기름을 사용하고 60여 년 전 라면을 요즘 소비자들 입맛에 맞게 개선했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가운데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써 진한 국물 맛을 살렸다. 현재 삼양라면이라는 이름의 제품이 있지만 팜유가 사용되기 때문에 우지를 쓰는 원래 제품과는 다르다...
기사 본문
삼양바이오팜 타임라인 /그래픽=박진화 기자 삼양바이오팜이 약 4년 만에 인적분할을 재추진한다. 이에 '오너4세' 경영을 본격화한 삼양홀딩스가 지배구조를 공고히 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분할재상장 완료 이후 5년간 공개매수 방식의 유상증자 등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한국거래소와 확약한 점을 감안했을 때, 신설회사의 배당 및 지분 매각 등을 오너일가의 현금창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상장으로 삼양바이오팜의 기업가치가 상승할 경우 자연스럽게 현금배당 확대 여력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양바이오팜 예상 시총 847억원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양홀딩스는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분할계획서 승인의 안건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삼양홀딩스는 바이오팜그룹을 인적분할해 신설법인 '삼양바이오팜'을 설립한다. 신설법인은 다음 달 1일 공식 출범하며, 같은 달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진입해 상장을 마무리한다. 삼양바이오팜은 독립적인 사업회사로...
기사 본문
'우지파동' 겪었던 삼양, 소기름 라면 36년만에 재출시 "최근 소비자 입맛에 맞춘 프리미엄 제품 선보여"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삼양식품이 소기름(우지)을 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내놓는다. 21일 삼양식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신제품인 ‘삼양라면 1963’을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1963은 삼양라면이 처음 출시됐던 1963년에서 따온 상품명이다. 삼양라면을 소기름(우지)으로 튀기는 모습(이미지=유튜버 고든성기의 고기연구소 캡처) 이번 신제품 출시는 우지로 만든 라면을 맛본 소비자들의 재출시 요청이 이어진 데 따른 것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삼양라면 1963’은 면을 튀길 때 소기름을 사용하고 최근 소비자 입맛에 맞춘 프리미엄 제품이다. 과거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했다. 삼양식품의 라면이 공업용 우지로 면을 튀겼다는 익명 투서가 검찰청에 접수되고 언론 보도...
기사 본문
삼양식품 [삼양식품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삼양식품이 소기름, '우지'를 사용한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출시합니다. 다음달 새롭게 선보일 제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이 출시된 1963년을 기념한 '삼양라면 1963'입니다. 제품명에 붙은 ‘1963’은 삼양라면이 처음 세상에 나온 연도를 뜻하며, 초창기 방식처럼 면을 우지(소기름)으로 튀긴 제조 방식을 다시 채택했습니다. 앞서, 삼양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한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보건사회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으나 브랜드 이미지에는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삼양은 80년대 초 농심에 라면 1위 자리를 내준 데 이어 오뚜기에 2위 자리까지 빼앗겼습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러다 불닭볶음면이 글로벌 시장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2020년대 들어서 2위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다시 출시하기로 한 건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