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증권사 지점 5년새 25%폐점…"금융접근권 붕괴 심각"[2025국감]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개
수집 시간: 2025-10-22 00:07:0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시아경제 2025-10-21 08:25:48 oid: 277, aid: 0005667110
기사 본문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현상이지만 소비자 접근성 크게 해쳐 허영 의원 "금융사가 포용적 금융 구축해야" 지난 5년 사이에 국내 주요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지점 4곳 중에 1곳은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변화일 수 있지만 폐점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5년6개월 사이에 4대 시중은행은 3625개의 지점 중에 26%인 937개를 폐쇄해 현재는 2688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같은 기간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20%인 484곳의 문을 닫았고,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36%인 233개의 간판을 내렸다. 허 의원은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금융사의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은행의 경우 은행연...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0-21 21:00:12 oid: 002, aid: 0002410922
기사 본문

서울 은행 3곳 중 1곳은 강남에…허영 "지역별 금융격차 심화, 제도개선 나서야" 최근 5년 반 동안 은행·보험·증권사 지점의 4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접근권의 붕괴 현상과 함께, 수도권 내에선 4대 시중은행의 서울 지점중 31.5%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몰리는 등 지역별 양극화 문제도 확인됐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2025년 6월까지 은행·보험·증권사 지점의 폐점률이 각각 26%, 20%, 36%로 나타났다. 점포 축소의 속도가 과도해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진다는 지적이다.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해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현재 2688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며, 937개 지점을 폐쇄해 약 26%가 감소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20%)을 폐쇄했고,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지점 중 233곳(36%)을...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21 08:31:11 oid: 123, aid: 0002370235
기사 본문

은행·보험·증권 5년 새 25% 폐점.. 금융접근권 붕괴 심각 ‘서울 3곳 중 1곳은 강남’…지방은 금융공백 심화 은행 26%·보험 20%·증권 36% 감소…비대면 확산 탓 고령층 많은 지방, 디지털 접근성 낮아 피해 커 허영 의원 “은행권 순이익 5년간 91조원에도 금융공공성 외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6개월간(2020~2025.6.) 은행·보험·증권사 지점의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서울엔 지점이 넘치고, 지방은 은행 찾기조차 힘들다" 최근 5년여간 금융권의 지점 축소가 급속히 진행되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금융 접근성의 격차가 극심해지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에 은행지점이 집중되는 반면 지방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은 '금융 사막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1 10:08:42 oid: 003, aid: 0013547068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1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에 대출상담 창구에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다. 2025.07.01.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으면서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금융권이 스스로 포용적 금융체계를 갖춰야 하는 한편, 감독당국이 적극적인 관리·지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21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6개월간 은행·보험·증권사 지점의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4대 시중은행 (KB국민·신 ·하나·우리)은 현재 2688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며, 937 개 지점을 폐쇄해 약 26% 가 감소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 (20%)을,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 (36%)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거래 확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