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카자흐에 CKD 공장 준공…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속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4418억원 투입, 연 7만대 규모 생산기지 확보 쏘렌토 양산 시작, 2026년부터 스포티지 생산 유럽·중앙아시아 잇는 물류 핵심 거점 부상 현지 조립으로 리스크 분산하고 수요 신속대응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기아가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핵심축으로 ‘CKD(Complete Knock-Down, 반조립제품)’ 방식을 앞세우며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사 양재 본사 전경 (사진=기아) 기아는 21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에서 CKD 합작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송호성 기아 사장과 로만 스클야르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 등 현지 정부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도 화상으로 행사에 참여했다. 이번 CKD 공장 건설에는 총 3억 1000만 달러(한화 약 4418억 4300만원)가 투입됐으며 전체 부지 면적은 63만㎡, 연간 생산능력은 7만대에 달한다. 기아는 준공식과 함께 글로벌 베스트셀링 스포츠...
기사 본문
부품 수출해 현지 조립…年 7만대 쏘렌토 양산, 내년 스포티지로 확대 브랜드 순위 현대차 1위·기아 3위 서울 서초구 양재동 기아 본사 사속. 기아 제공 기아가 21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에서 반조립제품(CKD) 자동차 합작 공장을 준공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현지 생산 역량을 강화해 시장 우위를 지키고 중앙아시아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날 준공식에서는 송호성 기아 사장과 로만 스클야르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를 비롯한 현지 정부 고위급 인사 등이 자리를 함께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화상으로 축사했다. 송 사장은 “이 공장은 고객 중심의 혁신 및 전동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려는 기아 글로벌 비전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기아 카자흐스탄 CKD 공장 건설에는 총 3억 1000만 달러(약 4400억원)가 투자됐다.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7만대 수준이고, 전체 부지 면적은 63만㎡에 달한다. 부품을 수출하고 현지에서 조립하는 CKD 방식...
기사 본문
3100만 달러 투입해 연 7만대 생산 능력 확보 쏘렌토 이어 내년 스포티지도 생산…인근 수출 기대 기아 양재 본사./사진=기아 기아가 중앙아시아 거점 확보에 나섰다. 카자흐스탄에 완성차 조립 공장을 세우고 생산에 돌입했다. 러시아와 국경을 맞댄 카자흐스탄은 전쟁 이후 러시아를 대체할 신흥 생산기지로 주목 받는 국가다. 기아는 21일(현지시간)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북서부 코스타나이에서 반조립제품(CKD) 합작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송호성 기아 사장과 로만 스클야르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를 비롯해 다수의 현지 정부 고위급 인사, 파트너사 관계자들이 자리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화상으로 행사에 참석했다. 기아는 지난 2023년 말부터 카자흐스탄 CKD 공장 건설을 시작해 총 3억1000만달러(약 4400억원)를 투입했다. 전체 부지 면적은 축구장 약 88개 넓이인 63만㎡며, 연간 생산능력은 7만대 수준이다. 앞서 기아는 지난 2022...
기사 본문
기아가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북서부 지역인 코스타나이에 반조립제품(CKD) 합작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기아는 카자흐스탄 CKD 공장을 짓기 위해 2023년부터 3억1000만달러(4400억원)를 투자했다. 전체 용지 면적은 축구장 약 88개 넓이인 63만㎡로 연간 생산능력은 7만대다. 기아는 이번 공장 준공식에 맞춰 쏘렌토 양산을 시작했다. 내년에는 스포티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에 앞선 2022년 기아는 인근 지역에 연간 1만대 규모 스포티지 CKD 위탁생산 공장을 구축했다. 카자흐스탄 총 생산 능력은 연간 8만대로 올라가게 된다. 생산 차량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등으로 수출한다. [김정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