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증권사 지점 5년새 25% 사라져…금융접근성 ‘적신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비대면 거래가 확산하면서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여간 점포가 크게 줄면서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은행·보험·증권사 지점의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현재 2688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며, 937개 지점을 폐쇄해 약 26%가 감소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20%),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36%)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점포 축소 규모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연합회가 2021년 3월 ‘점포폐쇄 공...
기사 본문
▲ 허영 국회의원 최근 5년간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의 경우 춘천·원주·강릉 등 빅3 도시내 폐점이 지속되고 있어 감소 추세가 빨라질 경우 금융접근권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철원·화천·양구 갑)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 자료를 받아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의 5년 6개월간의 폐점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특히 이 기간 강원권역에서는 춘천·원주·강릉 점포들이 집중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9대 증권사 중 NH투자증권은 춘천·원주·강릉 WM센터를 1곳씩 줄였고 한국투자증권은 춘천·강릉영업소, 하나증권은 원주·강릉의 문을 닫았다. 원주의 경우 이외에도 KB증권·삼성증권·신한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 지점 점포가 하나씩 사라졌다. 4대 은행을 합치면 국민은행 2곳과 하나은행 1곳 등 3곳이, 생명보험사는 홍천에서 1곳 줄었다. 전국적으로는 4대 시중은행 (KB·국민·신한·하나·우리 )이 937개 ...
기사 본문
강남 3구에 서울 은행지점 30% 이상 집중, 중·저소득 지역 ‘금융공동화’ 가속 허영 의원 “은행권 순이익 5년간 91조원에도 금융공공성 외면…책임 인식해야” 최근 5년간 금육권의 지점 축소가 진행되며 금융 접근성의 격차가 극심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갑) 국회의원이 21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 6월까지 5년 6개월간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았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전국 2,688개 지점을 운영 중으로, 937개 지점을 폐쇄해 26%가량이 감소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20%)을,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 (36%)을 줄였다. 강원도에서도 이 기간 국민은행 2곳, 하나은행 1곳, 증권사 가운데 신한라이프 4곳, 교보생명 3곳, 농협생명 2곳, 한화생명 1곳 등이 폐점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
기사 본문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 시중은행의 모습. 2025.10.15/뉴스1 대형 금융회사들이 최근 5년여간 오프라인 점포 4곳 중 1곳을 폐쇄하면서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에 있는 은행 점포는 3곳 중 1곳꼴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몰려 있었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6개월(2020년~2025년 6월)간 대형 은행·보험·증권사 등 18개 금융사가 지점 25%(1654곳)를 축소했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같은 기간 3625개 지점 중 937곳(26%)을 폐쇄했고, 5대 생명보험사는 2443개 지점 중 484곳(20%)을, 9개 주요 증권사는 640개 지점 중 233곳(36%)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으나,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은행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