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 24.7% ‘뚝’...미국 관세에 10월 무역수지 28억弗 적자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미국 관세 충격으로 10월 중순까지 대미 수출이 24.7% 급감하면서 무역수지가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업일수 감소를 고려하더라도 대미 수출 감소폭이 커, 관세 여파가 본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뉴스1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0월 1∼20일 수출액은 301억5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27억2000만 달러)보다 25억7000만 달러(7.8%) 줄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가 10.5일로 작년(12.5일)보다 2일 적었던 점을 감안한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000만 달러로 작년(26억2000만 달러)보다 9.7% 증가했다. 문제는 대미 수출이다. 이 기간 미국으로의 수출은 24.7% 급감했다. 조업일수가 줄어든 영향을 감안해도 감소폭이 큰 만큼, 미국 관세 조치가 본격적인 타격을 주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트남(-10.0%)과 중국(-9.2%) 수출도 줄었다. 반면 대만(58.1%), 싱가포르(5.3...
기사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따른 한미 무역협상의 최종 타결이 가시권에 들어온 양상이다. 대미 투자 구성·방식과 한미 통화 스와프 등 외환시장 안전장치에 대한 양측의 이견이 일정 부분 좁혀진 듯한 신호가 잇따르면서 가까운 시일 내 타결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16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와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평택=뉴시스] 미국 관세 정책과 추석 연휴에 따른 여파로 10월 1~20일 대미 수출이 24% 이상 감소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미국 수출은 42억3200만 달러로 지난해(56억1800만 달러)보다 24.7% 급감했다. 조업일수 감소를 고려한 일평균 대미 수출액도 약 4억300만 달러로 지난해(4억4900만 달러)보다 10.3% 줄어들었다. 이는 미국 관세 영향에 따른 대미 수출 감소로 보인다. 대미 수출은 미국이 상호관세 조치를 본격화한 올 4월부터 꾸준히 감소했다. 올 7월(1.5%) 소폭 상...
기사 본문
수출 301억달러·수입 330억달러…각각 7.8%, 2.3% 감소 반도체 수출 20% 늘었지만 자동차는 25% 급감 연합뉴스 반도체는 웃었지만, 자동차가 주저앉았다. 10월 수출이 석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설 위기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20% 넘게 늘었음에도 승용차·가전·무선통신기기 등 비(非)IT 품목이 일제히 급감하며 전체 수출이 7%대 감소했다. 대미(對美) 수출이 25%나 줄고,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수출도 부진하면서 무역수지도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1~20일 수출입 현황(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은 301억달러로 전년 동기(327억달러)보다 7.8% 감소했다. 수입은 330억달러로 2.3% 줄었고, 무역수지는 28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업일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일 줄었음에도 일평균 수출액은 9.7% 증가해 수출 기반은 일정 부분 유지된 것으로 평가된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기사 본문
(상보)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사진제공=뉴스1 10월 중순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예년보다 길었던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감소한 탓이다. 조업일수 영향을 뺀 일평균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액은 301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10월 중순 수출 감소는 추석 연휴(10월 3~9일)의 영향이 크다. 실제 올해 10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조업일수는 10.5일로 1년 전(12.5일)보다 2일 적었다. 조업일수가 적었던 만큼 수출이 감소한 것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증가세를 보였다. 10월 1~20일 조업일수 고려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26억2000만달러)보다 9.7%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선박(+11.7%) 등의 수출이 증가했...
기사 본문
긴 추석연휴에 조업일수 감소...전체 수출 7.8%↓ 반도체 20.2% 선박 11.7% 증가했으나 관세 직격탄 車부품·철강 등 감소세 이어가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10월 1~20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24.5% 줄었다. 긴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고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으로 10월 전체 수출은 5개월만에 마이너스 전환이 전망된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0월 1~20일 수출액은 301억달러(통관 잠정치)로, 전년 동기 대비 7.8% 줄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전년 보다 2일 적은 10.5일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26억2000만달러보다 9.7% 늘었다. 반도체 수출이 약 20% 증가하며 ‘수출 효자’ 역할을 이어갔다. 월간 수출은 지난 6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지만,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10월에는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올해 1월1일부터 10월20일...
기사 본문
10월 1∼20일 수출 7.8% 감소… 대미수출 24.7% 감소 길었던 추석 연휴 영향… 대미 수출, 관세 영향 본격화 무역항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연합뉴스] 10월 중순까지 미국으로의 수출이 25%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등 미국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 관세 후속 협상마저 진전되지 못 한 영향이다. 이 기간 대미 수출과 함께 전체 수출도 8% 가까이 감소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중 대미수출액은 42억3000만달러로 전년대비 24.7% 감소했다. 조업일수 감소를 고려하더라도, 미국 관세 충격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은 지난 4월 철강제품에 50%, 자동차에 25%의 고관세를 각각 부과하기 시작했다. 반도체, 바이오 등 일부 업종을 뺀 나머지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15%의 관세를 부과 중이다. 더구나, 미국으로의 최대 수출품목인 자동차의 경우 관세 부과로 일본, 유럽연합(EU...
기사 본문
추석 연휴·미국 관세 부과 영향 일평균 수출액은 9.7% 증가세 지난 8월 3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이달 1~20일 수출액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때문이다. 특히 대미 수출은 25%가량 급감했다. 관세청은 21일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줄어든 301억4천5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9.7% 늘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0.5일로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었다. 월간 기준 국내 수출액은 지난 2월(1.0%) 3월(3.1%) 4월(3.7%) 연속으로 증가세(1년 전 같은 달 대비)를 보이다 5월(-1.3%) 마이너스로 돌아선 바 있다. 하지만 6월(4.3%)에는 다시 늘었고 7월(5.9%) 8월(1.3%) 9월(12.7%)까지 4개월 연속...
기사 본문
관세청 집계…일평균 수출액은 증가세 美 관세 영향 속 대미 수출 24.7% 급감 반도체는 20% 증가…무역수지는 적자 이달 1~20일 수출액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때문이다. 특히 대미 수출은 25%가량 급감했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용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연합뉴스 관세청은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줄어든 301억45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9.7% 늘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0.5일로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었다. 월간 기준 국내 수출액은 지난 2월(1.0%) 3월(3.1%) 4월(3.7%) 연속으로 증가세(전년 동월 대비)를 보이다 5월(-1.3%) 마이너스로 돌아선 바 있다. 하지만 6월(4.3%)에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