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의 실수'는 옛말, 한국 기업 57% "중국 기술에 따라잡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대한상의 제조업체 370개 설문조사 기술 경쟁력 한국이 중국에 앞서 응답 2010년 89.6%→2025년 32.4% 중국의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개발을 형상화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제조기업 세 곳 중 두 곳은 중국에 기술 경쟁력을 따라잡히거나 추월당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렴한 가격을 무기 삼아 '가격 경쟁력만을 가진 중국산', '대륙의 실수'라는 비아냥 섞인 평가를 받던 중국이 기술 혁신을 거듭해 양질의 제품으로 한국 제조 경쟁력을 위협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 사를 대상으로 '한·중 산업 경쟁력 인식'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국 경쟁 기업과 비교해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한 기업은 32.4%에 그쳤다 고 21일 밝혔다. '기술 경쟁력 차이가 없다'(45.4%)거나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22.2%)는 응답이 상당수 였다. 2010년 같은 내용의 조사에서 기업 10개 중 9개(89.6%)가 '한국 ...
기사 본문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2010년과 올해 국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중 ‘한국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는 응답 비교. 자료제공 = 대한상공회의소 한 대기업 계열 2차전지 제조사 임원은 최근 “국가적으로 천문학적인 자본을 쏟아붓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과 세계 무대에서 경쟁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과거엔 첨단 기술이 필요한 제품은 한국이 앞서고, 중국은 저품질 제품을 저가로 생산한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 그마저도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는 특허 출원에서 등록까지 족히 2년은 걸리는데, 중국은 1~2개월이면 특허 출원에서 등록까지 완료된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기술력에서의 우위마저 빼앗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처럼 중국 제조업의 기술 경쟁력이 한국 제조업을 앞지르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국내 기업들 사이서 커지고 있다. 한중 두 나라간 기술 역전의 원인으로는 중국 정부 주도의 막대한 투자와 유연한 규제가 꼽혔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 3...
기사 본문
“한국기업 기술력이 중국 앞선다” 90% → 32%로 줄어 가격경쟁력도 뒤처져...85% “동일사양 중국산이 더 싸다” 대한상의 조사 결과, 중국 경쟁기업과의 기술경쟁력 수준을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 국내기업의 32.4%만이 ‘중국보다 기술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했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백서원 기자] ‘가격 경쟁력만을 가진 중국산’, ‘대륙의 실수’는 옛말이 됐다. 가격경쟁력을 무기삼던 중국이 기술혁신을 거듭하며 양질의 제품으로 한국산 제조경쟁력을 빠르게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K-성장 시리즈(4) 한·중 산업경쟁력 인식 조사와 성장제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경쟁기업과의 기술경쟁력 수준을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 국내기업의 32.4%만이 ‘중국보다 기술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했다. 한-중 기업간 기술경쟁력 차이가 없거나(45.4%),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22.2...
기사 본문
대한상의, 370개 제조기업 조사…15년새 국내기업 57%, 中기술에 따라잡히거나 추월당해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중국의 첨단기술을 선보이는 ‘2025 중관춘 포럼 연례회의’가 27∼31일 베이징 하이뎬구 중관춘에서 '신품질 생산력과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을 주제로 열린다. 28일 오전 행사장인 중관춘국제혁신센터의 휴머노이드 로봇 모습. 2025.03.28. pjk76@newsis.com /사진=박정규 중국이 '제조업 굴기'를 선언(2015년)한지 10년 만에 우리 기업을 빠르게 추월해 가격경쟁력은 물론 기술경쟁력에서도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값싼 저질 제품을 상징하던 '중국산'이 갖던 의미나 조롱섞인 '대륙의 실수' 따위는 이제 옛말이 됐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사를 대상으로 'K-성장 시리즈(4) 한·중 산업경쟁력 인식 조사와 성장제언 '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 경쟁기업과 기술경쟁력 수준을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 국...
기사 본문
핵심요약 2010년엔 90%가 '한국이 앞선다'…이제 30%만 남아 "中이 더 싸고 빠르다"…韓 제조업 경쟁력 약화 기류 뚜렷 中 정부의 대규모 투자 vs 韓 역진적 세제 구조 대한상의 "성장형 지원정책으로 전환해야"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국내 제조기업 세 곳 중 두 곳은 "이미 중국에 기술력을 따라 잡히거나 추월당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거 '값싼 대체품'으로 여겨졌던 중국산 제품이 이제는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품질 경쟁력까지 갖춰 한국 제조업의 강점을 빠르게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사를 조사한 결과, 중국 경쟁 기업과의 기술 경쟁력 수준을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라고 답한 기업은 32.4%에 불과했다. 반면 "차이가 없다"(45.4%), "중국이 앞선다"(22.2%)는 응답은 67.6%로 집계됐다. 지난 2010년 같은 조사에서 "한국이 기술 우위"라고 답한 비율이 89.6%였던 ...
기사 본문
대한상의 '한중 산업 경쟁력 인식 조사' "미중 기술 역전, 투자와 규제 차이" "산업 정책 인센티브 구조 개선해야" 우리나라 기업의 57%가 한국의 기술 경쟁력이 15년 만에 중국에 따라잡혔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과 중국의 기술 역전의 원인으로는 중국 정부의 막대한 투자와 유연한 규제라며, 우리나라 산업 정책도 인센티브(성과급)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21일 발표한 'K-성장 시리즈 한·중 산업 경쟁력 인식 조사와 성장 제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32%가 '한국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우리나라 기업이 '한국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한 비중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지난 2010년 우리나라 기업의 89.6%가 '한국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한 것과 비교하면 57.2% 차이가 난다. 이는 15년 새 국내 기업의 57%가 중국 기술...
기사 본문
대한상의 조사, 15년 전 89.6%에서 32.4%로 지난달 8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의 ‘IFA 2025’에서 중국 로봇청소기 브랜드 드리미의 ‘사이버 X’가 계단을 올라가는 시연을 관람객들이 살펴보고 있다. 송윤경 기자 가격을 무기로 삼던 중국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거듭하며 한국 기업들의 제조 경쟁력을 빠르게 추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상의)가 최근 국내 제조 기업 370개사를 대상으로 ‘한·중 산업 경쟁력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국내 기업의 32.4%만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했다. ‘한·중 기업 간 기술 경쟁력 차이가 없거나’(45.4%),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22.2%)는 응답이 상당수였다. 2010년 같은 조사를 했을 때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중국보다 높다’고 답한 비중은 89.6%였다. 15년 새 국내 기업의 57%가량이 중국 기술에 따라잡히거나 추월당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압도적인 것...
기사 본문
상의, 국내 제조사 370개사 대상 조사 "韓, 중국보다 기술 앞선다" 32.4%불과 15년 전, 89.6%였으나, 기술역전 현실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대한상의 제공 [파이낸셜뉴스] 우리 기업 10곳 중 7곳은 이미 중국 기업과 기술 경쟁력에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이 가격뿐만 아니라 기술력, 속도까지 앞서고 있어, 폐쇄적 규제 환경 개선과 정부 지원 정책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K-성장 시리즈(4) 한·중 산업경쟁력 인식 조사와 성장제언'을 주제로 국내 제조기업 37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기업이 중국보다 기술 경쟁력이 앞선다는 응답은 전체의 32.4%에 그쳤다. 양국 기술 경쟁력 차이가 없다는 답은 45.4%,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는 답이 22.2%에 달했다. 과거 2010년 동일한 조사에서는 한국 기업이 앞선다는 답이 89.6%였으나, 15년새 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