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전기안전공사, '안전한 ESS 생태계 구축' 협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삼성SDI는 지난 20일 전기안전공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전기안전공사는 "삼성SDI는 최근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체 발주 물량의 약 80%를 수주할 만큼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효과적인 ESS 사고 예방 체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업무 협약서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자의 자율적 참여 유도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이 포함...
기사 본문
전기차·배터리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의 돌파구를 찾고 있는 국내 배터리 업계의 ESS(에너지저장장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며 주도권 경쟁에 돌입했다. 북미 시장에선 대규모 양산에 돌입한 LG에너지솔루션이 ESS를 기반으로 실적 개선에 나섰고, 삼성SDI는 국내 ESS 입찰 시장에서 대규모 수주를 따냈다. SK온도 안전성을 강조하면서 국내에서 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생산을 앞두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직원이 배터리 생산 공정을 살펴보고 있다. LG엔솔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시장에서 ESS용 배터리 대규모 양산에 돌입했다./LG에너지솔루션 ◇“ESS, 전기차 잇는 핵심 성장축” 이석희 SK온 사장은 지난 20일 서울 연세대에서 열린 CEO 특강에서 “ESS 사업은 전기차를 잇는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라며 “ESS 기술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ESS는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기사 본문
지난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에서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주 전기안전공사 기술이사,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박진 삼성SDI 중대형사업부장 부사장. 삼성SDI 제공 삼성에스디아이(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안전을 다짐하기 위해 추진된 이번 협약에는 △에너지저장장치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 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 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
기사 본문
ESS 입찰 성공한 삼성SDI…안전관리 정책· 매뉴얼 공동개발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에서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오른쪽 두번째)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왼쪽 두번째)이 기념 사진을 촬영한 모습(삼성SDI 제공). 2025.10.20.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삼성SDI(006400)는 전기안전공사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삼성SDI는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력거래소 전체 발주 물량의 80%를 수주한 바 있다. 업무 협약서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