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20일 수출 7.8%↓…대미 수출 24.7% 감소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7개
수집 시간: 2025-10-21 13:4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0-21 12:52:08 oid: 422, aid: 0000793143
기사 본문

지난해보다 긴 추석연휴의 영향 등으로 이번 달 중순까지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오늘(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301억5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7.8% 감소했습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9.7% 늘었습니다. 국가별로는 관세 충격에 대미 수출이 24.7% 급감했고 베트남, 중국 등도 감소했습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 선박 등에선 수출이 늘어난 반면 승용차와 무선통신기기 등은 줄었습니다. 수입은 2.3% 감소한 33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보였습니다. #수출 #관세청 #반도체 #수입 #선박 #대미수출 #승용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KBS 2025-10-21 12:56:57 oid: 056, aid: 0012050677
기사 본문

이달들어 20일까지 수출이 301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줄었다고 관세청이 밝혔습니다. 다만 추석 연휴로 조업 일수가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일평균 수출액은 28억 7천만 달러로 작년보다 9.7% 늘었습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지난해보다 20.2% 늘었고, 석유제품과 선박도 각각 10.9%, 11.7% 늘었습니다. 반면, 관세 영향을 받는 승용차는 지난해보다 25% 줄었고, 그 영향으로 대미 수출액도 24.7% 줄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문화일보 2025-10-21 11:53:27 oid: 021, aid: 0002744076
기사 본문

■ 美시장서 3개월째 위축 트럼프 관세 충격 본격화 승용차·통신기기 등 약세 긴 추석 연휴 영향 등으로 10월 중순까지의 한국 수출액이 7.8% 감소했다. 미국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對)미 수출이 약 25% 감소했는데 지난 8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이후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위축세가 3개월째 지속하고 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301억4500만 달러(약 42조8119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8%(25억6700만 달러) 감소했다. 다만 조업일수로 나타낸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000만 달러로 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간 이어진 추석 연휴 영향으로 이달 1∼20일 조업일수는 10.5일로 기록돼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었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이 24.7% 급감했다. 조업일수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미국 관세 충격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대미 수출은 미국이 지난 8월 1일 한국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한 직후 월...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1 10:11:49 oid: 277, aid: 0005667274
기사 본문

수출 301억달러·수입 330억달러…각각 7.8%, 2.3% 감소 반도체 수출 20% 늘었지만 자동차는 25% 급감 연합뉴스 반도체는 웃었지만, 자동차가 주저앉았다. 10월 수출이 석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설 위기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20% 넘게 늘었음에도 승용차·가전·무선통신기기 등 비(非)IT 품목이 일제히 급감하며 전체 수출이 7%대 감소했다. 대미(對美) 수출이 25%나 줄고,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수출도 부진하면서 무역수지도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은 301억달러로 전년 동기(327억달러)보다 7.8% 감소했다. 수입은 330억달러로 2.3% 줄었고, 무역수지는 28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업일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일 줄었음에도 일평균 수출액은 9.7% 증가해 수출 기반은 일정 부분 유지된 것으로 평가된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