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에…이달 1~20일 수출 7.8%↓ 대미 수출은 24.7% '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관세청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 조업일수 고려 일평균 수출액 9.7%↑ 반도체 20.2% 선박 11.7% 증가에도 관세 직격탄 車부품·철강 등 감소세 연합뉴스 [서울경제] 10월 중순 수출이 1년 전보다 7% 넘게 감소했다. 올해 유난히 길었던 추석 연휴에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대미 수출 급감 등이 겹치면서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액은 30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이번 수출 감소의 주된 배경은 개천절·추석·한글날 등이 이어진 황금 연휴(10월 3~9일)의 영향이다. 올해 10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조업일수는 10.5일로 1년 전(12.5일)보다 2일 적었다. 공장을 돌리는 날이 적으니 수출도 자연스레 줄었던 셈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8억 7000만 달러로 오히려 9.7% 증가한 게 이 같은 설명을 뒷받침한다. 국가별로는 한미 관세협상에 따라 8월 7일부터...
기사 본문
■ 美시장서 3개월째 위축 트럼프 관세 충격 본격화 승용차·통신기기 등 약세 긴 추석 연휴 영향 등으로 10월 중순까지의 한국 수출액이 7.8% 감소했다. 미국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對)미 수출이 약 25% 감소했는데 지난 8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이후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위축세가 3개월째 지속하고 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301억4500만 달러(약 42조8119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8%(25억6700만 달러) 감소했다. 다만 조업일수로 나타낸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000만 달러로 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간 이어진 추석 연휴 영향으로 이달 1∼20일 조업일수는 10.5일로 기록돼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었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이 24.7% 급감했다. 조업일수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미국 관세 충격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대미 수출은 미국이 지난 8월 1일 한국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한 직후 월...
기사 본문
[앵커] 관세 여파로 이번 달 20일까지 미국 수출이 지난해보다 24.7%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긴 연휴를 반영한 하루 평균 수출액을 따져보더라도 10% 넘게 수출이 줄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기완 기자, 이번 달 수출 실적이 심상치 않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긴 추석 연휴영향도 있었지만 미국 관세 여파가 컸습니다. 일단 이번 달 들어 어제까지 전체 수출액은 301억5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감소했습니다. 긴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이틀 적었던 변수를 제외하고 정확히 비교가 가능한 하루 평균 수출액으로는 1년 전보다 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미국으로의 수출입니다. 이번 달 들어 어제까지 대미수출은 42억3천2백만 달러로, 1년 만에 24.7%나 주저앉았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루 평균 수출액으로 따져봤는데요. 하지만 미국으로의 하루 평균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0% 넘게 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 베트남과...
기사 본문
수출 301억달러·수입 330억달러…각각 7.8%, 2.3% 감소 반도체 수출 20% 늘었지만 자동차는 25% 급감 연합뉴스 반도체는 웃었지만, 자동차가 주저앉았다. 10월 수출이 석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설 위기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20% 넘게 늘었음에도 승용차·가전·무선통신기기 등 비(非)IT 품목이 일제히 급감하며 전체 수출이 7%대 감소했다. 대미(對美) 수출이 25%나 줄고,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수출도 부진하면서 무역수지도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은 301억달러로 전년 동기(327억달러)보다 7.8% 감소했다. 수입은 330억달러로 2.3% 줄었고, 무역수지는 28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업일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일 줄었음에도 일평균 수출액은 9.7% 증가해 수출 기반은 일정 부분 유지된 것으로 평가된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0.2%), 석유제품(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