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화재 재발막는다…삼성SDI·전기안전공사, ESS안전 협력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2차 ESS 정부입찰 앞둔 삼성SDI 배터리 안전성 부각 삼성SDI·전기안전공사,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 업무협약 체결 사진 왼쪽부터 김성주 전기안전공사 기술이사,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박진 삼성SDI 중대형사업부장 부사장 [삼성SD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삼성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21일 전기안전공사와 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협약은 ▲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체계 구축 ▲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자의 자율적 참여 유도 ▲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을 골자로 한다. 삼성SDI...
기사 본문
지난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에서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주 전기안전공사 기술이사,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박진 삼성SDI 중대형사업부장 부사장. 삼성SDI 제공 삼성에스디아이(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안전을 다짐하기 위해 추진된 이번 협약에는 △에너지저장장치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 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 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
기사 본문
ESS 입찰 성공한 삼성SDI…안전관리 정책· 매뉴얼 공동개발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에서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오른쪽 두번째)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왼쪽 두번째)이 기념 사진을 촬영한 모습(삼성SDI 제공). 2025.10.20.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삼성SDI(006400)는 전기안전공사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삼성SDI는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력거래소 전체 발주 물량의 80%를 수주한 바 있다. 업무 협약서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기사 본문
국정과제 뒷받침 위한 배터리 산업 발전 업무협약 체결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남화영)과 삼성SDI(대표 최주선)이 전기저장장치(ESS)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20일 삼성SDI와 ‘전기저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삼성SDI가 전기저장장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한국전기안전공사 ] 이번 협약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국정과제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발맞춰,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다지기 위해 마련되었다. 업무협약서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개발·기관관 대응 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자의 자율적 참여 유도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교류 등이 포함됐다. 전기안전공사는 삼성SDI가...
기사 본문
전기차·배터리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의 돌파구를 찾고 있는 국내 배터리 업계의 ESS(에너지저장장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며 주도권 경쟁에 돌입했다. 북미 시장에선 대규모 양산에 돌입한 LG에너지솔루션이 ESS를 기반으로 실적 개선에 나섰고, 삼성SDI는 국내 ESS 입찰 시장에서 대규모 수주를 따냈다. SK온도 안전성을 강조하면서 국내에서 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생산을 앞두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직원이 배터리 생산 공정을 살펴보고 있다. LG엔솔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시장에서 ESS용 배터리 대규모 양산에 돌입했다./LG에너지솔루션 ◇“ESS, 전기차 잇는 핵심 성장축” 이석희 SK온 사장은 지난 20일 서울 연세대에서 열린 CEO 특강에서 “ESS 사업은 전기차를 잇는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라며 “ESS 기술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ESS는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기사 본문
SK온의 ESS 컨테이너형 제품 [ⓒSK온]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리튬인산철(LFP)' 홀릭에 빠졌다. 비교적 에너지밀도 중요성이 낮은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물론 침체기에 접어든 전기차도 LFP 배터리 탑재 비중이 늘어가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도 개발을 끝마치고 본격 양산을 준비하며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 나섰지만 업계 내에서는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에 우려가 가득 찬 모습이다. 불과 3~4년 전만 해도 LFP 배터리는 특정 시장 중심으로만 확대돼 왔다. 낮은 에너지밀도와 저온 배터리 성능, 무게 부담으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걸림돌이 된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당시만 해도 국내 배터리 3사는 LFP가 채용될 시장이 매우 한정적일 것으로 봤고, 니켈 함량이 90%가 넘는 '울트라하이니켈' 삼원계에 더욱 힘을 싣는 추세였다. 하지만 잇따른 삼원계 배터리 전기차의 화재 이슈와 경기 침체, 셀투팩(CTP) 등 보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중국 배터리 역습에...
기사 본문
'ESS 산업 활성화' MOU 체결 삼성SDI가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기념 사진. 사진 왼쪽부터 김성주 전기안전공사 기술이사,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박진 삼성SDI 중대형사업부장 부사장. 삼성SDI 삼성SDI는 20일 기흥사업장에서 전기안전공사와 '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특히 글로벌 ESS용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SDI와 에너지 안전 책임 전문기관인 전기안전공사가 손을 잡아 ESS 안전 분야에서...
기사 본문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삼성SDI가 전기저장장치 산업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2025.10.21/뉴스1 (전주=뉴스1) 강교현 기자 = 한국전기안전공사와 삼성SDI가 전기저장장치 산업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 기관은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전기저장장치(ESS) 산업 활성화 및 안전관리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국정과제와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은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공동개발·기관 대응 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소화 시스템 설치 등을 위한 관계자 자율적 참여 유도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이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회사의 기술 리더십을 사회적 책무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