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에 팔린 집, 절반이 '신고가'…서울에서도 유독 뜨거웠던 '이 동네'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1 07:27:1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투데이 2025-10-21 04:10:00 oid: 008, aid: 0005265597
기사 본문

서초 54%·광진 50% 기록… 마포 등 한강벨트도 40%대 과천 57%·분당 43%… 경기권도 핵심축 중심 비중 상승 지난달 서울 아파트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시장이 9월부터 거래회복과 함께 가격반등 흐름을 보이면서다. 특히 신고가 등 집값 상승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벨트 등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정부의 10·15 규제지역 확대지정은 이러한 집값 상승 압력이 확산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로 해석된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이달에도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기준으로 신고가 비중은 9월 수준으로 나타났다. 월간 신고가 거래 비중 추이/그래픽=김현정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입지를 중심으로 한 상승 흐름이 뚜렷했다. 9월 기준 기존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매매된 아파트 2채 중 1채(54%)가 신고가를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1 07:01:14 oid: 011, aid: 0004545669
기사 본문

서울 8월 18%서 24%로 비중 확대 경기도 14% 차지···노도강은 한자릿수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올해 처음으로 40억 원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난 20일 서울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곳곳이 아파트로 빼곡하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주택 시장이 지난달 9·7 대책 이후 가격 반등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역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9월 들어 강하게 반등했는데 서초·과천·광진의 경우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를 기록했다. 2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 공개 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지난 6월 22.9%에서 8월 18.5%로 떨어졌으나 9월 24.1%로 반등했다. 구별로 9월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광진구(50%), 마포구(44%), 성동구(43%), 강남구(42%), 중구...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0 13:30:00 oid: 008, aid: 0005265276
기사 본문

(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 정부가 15일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확정·발표했다. 서울 전역과 분당 과천 등 경기도 12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로 확대 지정되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수도권·규제지역의 시가 15억 원 초과~25억 원 이하 주택의 경우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축소된다. 사진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10.1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고르기에 들어갔던 시장이 9월부터 거래 회복과 함께 가격 반등 흐름을 보이면서다. 특히 신고가 등 집값 상승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한강벨트 등 핵심 ...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0 09:44:15 oid: 119, aid: 0003014221
기사 본문

서초·광진·과천, 신고가 거래 비중 절반 넘어 ⓒ데일리안DB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시장이 9월부터 거래 회복과 함께 가격 반등 흐름을 보였고, 상승은 강남 3구와 한강벨트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됐다.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러한 상승 압력이 확산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로 해석된다. 20일 직방이 올해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확대됐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거래가 살아나면서 가격대가 상단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확인된 셈이다.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기준 기존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