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금리, 기준금리 '동결' 전망 속 일제히 상승(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년물 연 2.569%로 1.4bp↑…10년물도 0.7bp↑ 계속해서 오르는 코스피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5.80포인트(1.76%) 오른 3,814.69에, 코스닥은 16.23포인트(1.89%) 오른 875.77에 장을 마감했다. 2025.10.20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기준금리가 결정되는 한국은행의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20일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채권의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여,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뜻한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4bp(1bp=0.01%포인트) 오른 연 2.569%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2.892%로 0.7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2.1bp, 2.0bp 상승해 연 2.687%, 연 2.513...
기사 본문
연내 인하도 불투명…"반도체호조·소비심리회복에 경기부양 부담 줄어" "美 연준은 경기 둔화 우려에 연내 두 차례 인하 가능성"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은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8.2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대부분 경제 전문가들은 오는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6·27 대책 이후에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진정되지 않아 10·15 대책까지 나온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낮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 불씨를 되살리고 '정책 엇박자' 논란을 자초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더구나 미국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에 최근 원/달러 환율까지 다섯달여 만에 다시 1.430원대까지 치솟은 만큼, 금리 인하가 환율 불안을 부추길 ...
기사 본문
10월 동결 100%…다음 인하 시점 갈려 11월 인하 66.7%…'내년 하반기' '인하 끝' 전망도 금리 결정 후 '이창용 총재 메시지' 주목도↑ 절반은 내년 최종금리 2.00%…2.25%도 33.3% 오는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상황에서 전문가 전원이 금리 유지(연 2.50%)를 전망했다. 추석 연휴 이후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패닉바잉(공황 매수)'이 발생하는 등 주택가격 급등세가 강화한 영향이다. 3500억달러 대미투자 관련 한미 간 이견 등으로 환율 불안이 커진 점도 이달 금리 동결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통위 이후 열릴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 발언에 시장이 어느 때보다 주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다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문가 의견이 크게 갈렸다. 다수가 11월로 예상했으나 일부는 내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로 이연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내년에도 부동산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 전망이 개선되면서 인하...
기사 본문
부동산·환율 급등에 10월 금리 동결 유력 10·25 부동산 대책 효과·한미 협상 타결 관건 연준 정책과 내수 흐름 주목…‘인하 실기론’도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두고 전문가 모두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10·25 부동산 대책이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이 아직 안갯속이라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이달 3500억달러 대미투자를 두고 한미 협상이 타결되거나 합의에 이를 경우 11월에야 금리를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래픽= 문승용 기자) 부동산·환율 ‘금리 인하’ 복병 19일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 등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전원은 이번 달 금통위 본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8월에 이어 10월에도 동결에 무게를 둔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등 부동산 시장이 불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