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美 재무부와 통화스와프, 검토한 적 없다”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0-21 01:57:1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일보 2025-10-20 15:41:08 oid: 023, aid: 0003935629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500억달러 대미(對美) 투자 해법으로서 한은과 미국 재무부 간 통화스와프가 거론된 데 대해 “한은은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이 총재는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과 미국 재무부 간 통화 스와프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느냐”는 질의에 “아르헨티나 사례 같은 중앙은행과 미국 재무부간 통화스와프는 단기 유동성 목적이다. 한은은 검토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국가 간 통화 스와프는 통상 중앙은행끼리 체결된다.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가 우리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미 재무부의 외환안정기금(ESF)을 활용하는 방안이 앞서 일부 언론을 통해 거론됐었다. 미 재무부가 최근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에 이를 활용해 200억달러 규모 달러 유동성을 지원...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0 18:51:08 oid: 277, aid: 0005667000
기사 본문

부동산 대책은 불가피…"피해 계층 반드시 생겨, 보완 필요" 한은-美 재무부 통화스와프, "한은은 검토한 적 없다" "금 왜 안샀나"…이창용 "자산배분 구조 다시 살펴볼 것" "한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에 '전원합의 방식' 적극 참여해야"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는 불붙은 부동산 시장 관련 질의가 줄을 이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부동산 문제는 어느 한 정책으로 해결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문제가 됐다"며 "큰 틀에서 현 상황에 대한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간 교육 격차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개혁 역시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급도 중요하지만, 정책적으로 서울 유입 인구를 줄여줘야 부동산 가격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은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 부동산 대책은...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21 00:20:19 oid: 005, aid: 0001808985
기사 본문

이창용 “장기 투자용 아냐” 신중 집값 과열엔 경계… 금리 동결 시사 금융위원장도 “필요시 추가 조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거론된 한은과 미 재무부 간 통화 스와프 방안에 대해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 재무부와의 통화 스와프를 검토한 적이 있느냐”는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통화 스와프는 단기 유동성이 목적이고 장기 투자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게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답했다. 단기적인 유동성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통화 스와프 체결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마련에 대한 ‘정답’은 아니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통화 스와프는 중앙은행 간 체결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 한·미 협상 과정에서 미 연방준...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0 19:13:52 oid: 421, aid: 0008550603
기사 본문

"교육격차 문제 있어… 입시제도 문제 해결해 서울 유입 줄여야" "최상목, 계엄 안 된다고 했다 들어…단기적 금 보유 비중 늘릴 계획 없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10.20/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이철 심서현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통화 정책과 관련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지 않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또 3500억 달러의 대미(對美) 투자 방안 중 하나인 한은·미국 재무부 간 통화스와프와 관련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더 늘려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보조를 맞춰 통화 정책을 운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오는 23...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