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부총리, 사우디 주택부 장관과 '스마트시티' 협력 논의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협력 채널 국토부에서 과기정통부까지 확대하려는 사우디 의지 반영 [서울=뉴시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운영을 위한 부총리 간 협조 및 협업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10.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20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마지드 알호가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과 만나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전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는 전국의 지방자치 행정 관리와 주택 정책·공급을 총괄하는 주요 부처다. 최근에는 비전 2030 정책에 맞춰 스마트시티 건설 및 기존 도시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번 면담은 2016년 및 2022년에 이어 세 번째 방한한 알 호가일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이 요청한 자리다. 그간 국토부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
기사 본문
<앵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약 100조 원을 투자해 수도 리야드에 건설 중인 스마트 신도시를 한국 건설사가 짓게 될 전망입니다. 사우디 주택부 장관이 직접 방한해 국내 대형 건설사 한 곳과 협약을 맺고, 우리 정부의 협조도 요청했습니다. 방서후 기자가 단독 인터뷰했습니다.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 북서부에 조성되는 미래형 신도시 '뉴 무라바(New Murabba)' 프로젝트.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추진 중인 '비전 2030'의 핵심 도시 개발 사업으로, 14㎢ 부지에 주택 10만 가구와 호텔 객실 1만 개, 학교, 병원, 의료시설 등이 들어섭니다. 총 사업비만 7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95조원에 달하는 사업인데다, AI, 모듈러, 디지털 트윈 등 첨단 기술이 대거 적용될 예정인 만큼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예상됩니다. 실제로 어제(19일) 한국 건설사 한 곳이 사우디 정부 관계자들과 스마트 주택 건설 관련 업무 협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사 본문
KOTRA가 본 해외시장 트렌드 석유 의존적 경제구조 탈피 관광·문화·엔터 등 체질 변신 기술 인프라 등 해결 과제 산적 K콘텐츠 활용한 협력 기회 많아 정동욱 리야드무역관 과장 가장 보수적인 아랍 국가. 각국 여성 지도자가 방문할 때마다 히잡을 썼는지 아닌지가 논란이 되던 곳. 2018년까지는 여성은 차량을 운전할 수 없었고, 상업 영화관도 없었던 곳. 사우디아라비아다. 올해 초 사우디에 부임할 때만 해도 수도 리야드의 e스포츠 경기장에 수천 명의 젊은 사우디 팬들이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T1의 페이커를 외치며 열광하는 모습을 보게 될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 LIV 골프 대회와 호날두가 뛰는 축구 리그를 가진 지금의 사우디는 중동의 엔터테인먼트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사우디의 변화는 우연이 아니다. 2016년 사우디는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석유 의존적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산업을 다변화하겠다는 국가 전략이었다. 정부는 석유와 가스에서 벌어들인 막대한 자본을 기...
기사 본문
뉴무라바 등 도시개발 사업서 디지털트윈 등 협력 논의 김윤덕 국토부 장관이 20일 사우디의 마제드 알 호가일(Majed Al-Hogail)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을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국토부 제공) /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국토교통부는 김윤덕 국토부 장관이 20일 사우디의 마제드 알 호가일(Majed Al-Hogail)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을 만나 한-사우디 간 도시 및 주택 개발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면담은 국토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도시와 디지털트윈 분야의 협력에 대한 마제드 알 호가일 장관의 제안으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지자체, 소방, 경찰 등의 정보시스템을 연결해 화재, 사고 등 위기 상황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운영 통합플랫폼을 소개했다. 그는 "다음달 18일부터 리야드에서 열리는 스마트시티로드쇼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시티 개발 기술과 경험을 적극 소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우디가 추진하...
기사 본문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0일 서울 중구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마제드 알 호가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을 만나 양국 간 도시·주택 개발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윤덕 국토장관,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 장관 면담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면담은 국토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트윈 분야 협력에 관한 알 호가일 장관 제안으로 마련됐다. 김 장관은 지방자치단체, 소방, 경찰 등의 정보시스템을 연결해 화재 등 위기 상황에 실시간 대응하는 스마트 도시운영 통합 플랫폼을 소개하면서 내달 18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리는 '스마트 시티 로드쇼'에서 한국의 기술과 경험을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또 리야드에 10만 가구를 공급하는 사우디의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 '뉴 무라바' 등에 한국 기업이 큰 관심을 보이는 점을 언급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한 한국형 플랫...
기사 본문
AI 기반 스마트도시·디지털 행정 협력 확대 논의 양국 도시정책 혁신 위한 기술 교류 강화 20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마지드 알호가일 사우디아라비아 방자치주택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배경훈 부총리 겸 장관이 마지드 알호가일(Majed Al-Hogail)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과 만나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전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0일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는 지방행정 관리와 주택정책을 총괄하는 주요 부처다. 최근에는 '비전 2030'에 따라 스마트시티 건설과 기존 도시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번 면담은 알호가일 장관의 세 번째 방한 일정으로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진행됐다. 그간 국토교통부 중심으로 진행되던 협력 논의를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총괄하는 과기정통부로 확대하기 위한 사우디 측 요청에 따라 성사됐다. 양측은 △지방행정 디지털 전환...
기사 본문
알 호가일 장관 요청으로 면담 성사⋯향후 협력 방안 의견 교환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마지드 알호가일(Majed Al-Hogail)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과 만나 스마트시티, 디지털 전환(DX)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마지드 알호가일(Majed Al-Hogail)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을 만나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전환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는 지방자치 행정 관리와 주택 정책·공급을 총괄하는 부처다. 최근 비전(Vision) 2030 정책에 맞춰 스마트시티 건설 및 기존 도시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양측은 △지방행정 디지털 전환 △도시계획·관리 분야 AI 활용 △스마트시티 공동표준 수립 및 국제표준화 협력 등을 주요 의제로 다뤘다. 양...
기사 본문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운영을 위한 부총리 간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마지드 알호가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방자치주택부 장관과 만나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전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는 전국의 지방자치 행정 관리와 주택 정책·공급을 총괄하는 주요 부처다. 최근에는 Vision 2030 정책에 맞춰 스마트시티 건설 및 기존 도시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다. 이번 면담은 2016, 2022년에 이어 세 번째 방한한 알 호가일 지방자치주택부 장관이 요청했다. 사우디 측에서 국토부 중심으로 이뤄졌던 협력채널을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전환 기술을 관장하는 과기정통부로 확대하길 바랐다는 설명이다. 과기정통부는 "양측이 △지방행정의 디지털 전환 △도시계획·관리 분야의 AI 활용 △스마트시티 공동표준 수립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