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에 대미 자동차 수출 7개월 연속↓…전체 수출은 4개월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수출 앞둔 자동차 [연합뉴스 자료사진]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9월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작년 동월 대비 7개월 연속 감소한 가운데 유럽·아시아 수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자동차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상황이 개선되면서 전기차 수출도 4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산업통상부가 오늘(20일) 발표한 '2025년 9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 9월보다 16.8% 증가한 64억1천만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역대 9월 최고 수출액이자 4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를 이어간 실적입니다. 지난해에는 추석 연휴가 9월에 있었지만, 올해는 10월로 밀리면서 9월 조업일수가 증가한 기저 효과 영향 등에 따른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다만, 1∼9월 누적 기준 수출도 541억달러로, 작년에 이어 또다시 최고 수출 실적을 경신해 올해 수출 증가세를 반영했습니다. 지역별로는...
기사 본문
내수·생산도 3개월째 증가 늦은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증가한 기저효과에 따라 9월 자동차 수출량·내수판매량·생산량 모두 전년 동월 대비 3개월 연속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다만 대미 자동차 수출은 품목관세 여파로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20일 산업통상부가 발표한 '9월 자동차산업동향'에 따르면 이달 수출액은 64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8% 증가했다. 이는 역대 9월 자동차 수출액 중 최고 수출액이다. 올해 9월까지 누적 수출액도 541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미국을 포함한 북미 수출량은 다소 줄었지만,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 호조가 이어지며 6월부터 증가세를 유지한 덕분이다. 수출량 기준으로는 22만8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 상승했다. 이 중 친환경차 수출량은 처음으로 월간 9만대를 돌파, 총수출량의 39.7%를 차지했다. 차종별로 하이브리드 5만8000대(55.7% ↑), 전기차 2만9000대(38.9% ↑), 플러그...
기사 본문
9월 생산량 33.4만대, 수출액 64.1억弗, 내수판매 15.7만대 美 수출 7.5% 감소 EU 52%, 아시아 62%, 아프리카 47%↑ 3년 연속 자동차 생산 400만대 돌파 유력…10월 변수예상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는 모습. 2025.10.01. jtk@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미국이 우리 자동차 기업 수입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며 9월 대미 자동차 수출이 7.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월 이후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9월 자동차 수출량, 내수판매량, 생산량이 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해 3개월 연속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에는 추석 연휴가 있었지만 올해는 10월로 이동하며 조업일 수가 증가한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2024년 1월 이후 수요 정체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던 전기차(수소차 포함)는 지난 6월 반등한 뒤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기사 본문
친환경차, 수출 9만 대 돌파·내수 8만3천 대.. '역대 최고' 기록 전기차, 1~9월 누적 수출 20만 대로 반등, 내수 연간 최대치 경신 산업부 "3년 연속 자동차 400만 대 생산 달성 전망" ◆ 지난달 16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사진: 연합뉴스 제공). 올 9월 자동차 수출·내수·생산 모든 부문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며 3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 대수와 전기차 내수 판매량이 월간 최대치를 기록해, 수출과 내수 모두에서 친환경차가 두각을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 9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9월 자동차 수출량은 22만8153대(+11.0%), 내수판매량은 15만7898대(+20.8%), 생산량은 33만4319대(+8.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9월에 있었던 추석연휴가 올해에는 10월로 이동하면서 조업일수가 늘어난 기저효과와 함께, 친환경차 중심의 수출 호조가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