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억 아파트에 사는 국토차관 “집값 떨어지면 그때 사면 된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부동산 정책 담당자 발언에 무주택자들 ‘부글’ “文 때 ‘벼락 거지’ 됐는데...” 불안심리 되레 자극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관련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 부동산 정책 설계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국토교통부 차관이 최근 한 유튜브 채널에서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내놓은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다. 서울 전체와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동시에 묶은 사상 초유의 이번 대책이 일부 국민들에게 가혹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나중에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 된다”고 한 것이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집값 잡겠다’는 정부 말만 믿었다가 ‘벼락 거지’가 되는 경험을 했던 무주택자들의 불안 심리를 오히려 자극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한 이상경(오른쪽) 차관./부읽남TV 캡처 지난 19일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한 이상경 국토...
기사 본문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 유튜브 ‘부읽남TV’ 출연해 “노·도·강 실수요층에겐 타격 있을 것…양해 구한다” 10월 19일 게시된 부읽남TV 영상 속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 모습. 유튜브 부읽남TV 갈무리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부동산 유튜브 채널 ‘부읽남TV’(부동산 읽어주는 남자)에 출연해 10·15대책 관련해 발언한 내용이 화제다. 이상경 차관은 19일 게시된 부읽남TV ‘국토부 차관에게 듣는 역대급 부동산 대책의 의미’에 출연해 서울 주택 실수요자에 대해 “정부 정책을 통해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된다”며 “만약 가격이 유지되는 경우로 봤을 때 집값이 유지된다면 그간 내 소득이 오르고, 오른 소득이 쌓인 이후 집을 사면 된다”고 밝혔다. 10·15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 남부 12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뿐 아니라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전월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차단되고 실수요에 대해서도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이 4...
기사 본문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한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 부읽남TV 갈무리 [서울경제]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해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상경 차관은 최근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해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전반을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대출 규제 완화와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관련한 발언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진행자가 "이번 규제로 적게는 몇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의 대출 한도가 낮아졌는데, 현금 많은 사람만 집을 사라는 해석이 많다.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이 차관은 “고가주택에서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어차피 현금 동원력이 큰 실수요자의 경우 규제와 상관없이 집을 매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주택 가격이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에서 오래 저축했던 자금과 대출을 일...
기사 본문
유튜브 채널 출연해 10·15대책 관련 설명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최근 한 유튜브 채널에서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내놓은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한 이상경(오른쪽) 국토교통부 1차관. /부읽남TV 화면 캡처 20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이 차관은 전날인 19일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출연해 서울 전체와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동시에 묶은 10·15 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해당 대책이 일부 국민에게 가혹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나중에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 된다”고 발언하면서 무주택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차관은 ‘이번 규제로 적게는 몇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의 대출 한도가 낮아졌는데, 현금 많은 사람만 집을 사라는 해석이 많다.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고가주택에서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어차피 현금 동원력이 큰 실수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