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10월 수출동향 점검회의…"수출동력 유지 총력"

2025년 10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0-20 14:07:1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0-20 11:00:05 oid: 001, aid: 0015688147
기사 본문

발언하는 문신학 산업차관 [촬영 이진욱]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산업통상부는 20일 문신학 차관 주재로 10월 수출 동향 점검 회의를 열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위험 요인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올해 1~9월 한국의 수출은 작년 동기보다 2.2% 늘어난 5천197억달러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영향이 큰 미국 수출이 감소했지만 유럽,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인도 등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문 차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어려운 통상 환경에도 불구하고 우리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업의 수출 시장 다변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에 기인했다"며 "수출을 둘러싼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차관은 "불확실한 환경이 해소될 수 있도록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한편, 4분기도 수출 상승세...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0 13:53:14 oid: 016, aid: 0002544397
기사 본문

산업부 10월 수출동향 점검회의…“수출동력 유지 총력”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 수출액이 올해 1~9월 전년 동기간배디 2%이상 증가했으나 상위 1· 2위를 차지하는 대(對) 중국과 대미국 수출은 4%가량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부는 20일 문신학 차관 주재로 이같은 이달 수출 동향 점검 회의를 열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위험 요인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올해 1~9월 한국의 수출은 작년 동기보다 2.2% 늘어난 5197억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 942억달러(-3.6%), 미국 915억달러(-3.8%), 중남미217억달러(-1.2%), 일본213억달러(-3.3%), 중동146억달러 (-1.3%) 등에서 줄었다. 반면, 아세안 904억(7%), 유럽연합(EU)539억달러(4.5%), 인도146억달러(3.7%) 등에서 증가했다. 대중국 수출은 양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석유화학 수출이 모두 부진한 영향으로 감소했다고 산업부는 분석...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0 12:50:20 oid: 014, aid: 0005421662
기사 본문

3분기 무역수지 113억 달러 흑자 선박, 자동차 수출 증가 석유제품 0.2% 감소 보합세 울산항 전경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지역의 올해 3분기 수출이 3개 분기 만에 반등세를 보인 가운데 석유화학제품의 수출과 원유 수입은 모두 감소했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울산 수출입동향'을 보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증가한 235억 7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분기별 수출액은 올해 1분기(-5.9%)와 2분기(-2.7%) 연속 감소했으나, 3개 분기 만에 올랐다. 주요 품목별 수출액을 보면 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수출 강세에도 전기차 감소 등 영향으로 작년보다 2.9% 감소한 60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석유제품은 0.2% 감소한 62억 달러를 기록, 보합세를 보였다. 석유화학제품은 글로벌 공급 과잉과 저유가로 인한 단가 하락세가 지속해 13.2% 감소한 23억 8000만 달러에 그쳤다. 반면 선박은 지...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0 11:01:10 oid: 119, aid: 0003014289
기사 본문

10월 품목별 수출 동향·리스크 점검 반도체·자동차·바이오·선박 등 호조세 철강·석유제품·석유화학·일반기계 등 감소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이 지난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를 주재하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임은석 기자] 올해 1~9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5197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6월 이후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했고 분기별 실적도 지속적으로 개선흐름을 보이면서 3분기 수출은 1850억 달러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과 리스크를 점검했다. 15대 수출품목 중에서는 반도체·자동차·바이오·선박 등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고 철강·석유제품·석유화학·일반기계 등 수출은 감소했다. 반도체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계획이 상향 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메모리 가격도 상승 흐름이 지속되면서 역대 1~9월 누적 수출 중...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