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 "언론사 선행매매, 최우선 현안…엄중 대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0일 국회 정무위 금융위 국감 이억원 금융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0일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선행매매' 등 불공정거래 행위 의혹에 대해서 "업종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위원장은 이같이 답했다. 불공정거래 의혹에 둘러싸인 일부 언론인들에 대한 조사 진행 상황을 묻는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의 말에 대한 답변이다. 한 의원은 "언론사 기자들이 특정 기업의 주식을 사두고 호재성 기사를 써주고 주가를 띄운 뒤 되파는 일명 '선행매매' 혐의로 금융당국에 대거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며 "많게는 5억원 이상의 사익을 취득한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김건희 특검의 삼부토건 주가조작 공소장에 따르면 기자들이 특정 작전세력의 일원으로 가담해서 금품을 받는 대가로 자기의 '바이라인'(기사 아래 표기되는 기자의 이름)을 팔고 돈을 받은 내용까지 담겼다"며 "당시 13개 언론사...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0일 일부 언론사 기자들이 특정 기업 주식을 미리 산 후 호재성 기사를 써 주가를 띄우는 이른바 '선행매매'에 가담한 것과 관련, "업종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선서하고 있다. 2025.10.20 김현민 기자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일부 기자들의 주가조작 가담 등 상황이 확인됐다는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자본시장이 제대로 발전하기 위해선 불공정거래가 제대로 척결돼야 한다. (불공정거래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같이 답변했다. 선행매매에 가담한 것으로 확인되는 언론사들을 일일이 언급한 한 의원은 "기업, 언론, 권력의 결탁이 일부만 드러나 대대적 조사가 필요하다"며 "보여주기식 수사가 아니라 전반적 수사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위원장 역시 "모든 불공정...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언론인들이 특정 기업 주식을 미리 산 뒤 호재성 기사를 써 주가를 띄운 후 팔아 이득을 취하는 선행매매와 작전세력에 가담해 기사를 쓰고 대가를 행태가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은 20일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일부 언론인들의 주가조작은 언론에 대한 사회적 신뢰와 자본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저해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강력한 재발방지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 의원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부정거래 혐의로 고발 통보한 언론인 수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한 명도 없다가 지난해 1명, 올해 들어 7명으로 늘어났다. 현재 수사대상 언론인은 수십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정 기업 주식을 미리 매수한 후 호재성 기사를 써 주가를 띄운 후 팔아서 이득을 취하는 선행매매와 이른바 '쫀칭조'로 불리는 작전세...
기사 본문
KBS가 연속 보도하고 있는 기자 선행매매 의혹 등으로 검찰에 고발이나 통보된 언론인이 올해 들어 크게 는 거로 나타났습니다. 금융위원회가 국회 정무위원회 한창민(사회민주당) 위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금융당국이 각종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거나 통보한 전·현직 언론인은 올해 1월~8월 사이 7명이었습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0명이었고, 지난해 1명에 머물다가 지난해 1명, 올해 들어 크게 늘었습니다. 이와 별도로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의 수사나 조사국의 조사 대상에 오른 언론인은 상당수 더 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주로 특정 기업 주식을 미리 매수한 뒤 호재성 기사를 써 주가를 띄운 다음 팔아서 이득을 얻는 선행매매와, 이른바 주가조작 세력에 가담해 기업홍보(IR) 대행사가 제공한 보도자료를 그대로 기사화해 현금 등 금품을 챙긴다고 한 위원은 밝혔습니다. 한창민 위원은 일부 언론인들의 자본시장 교란 행위 등에 대해 “언론에 대한 사회적 신뢰, 자본시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