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 조금씩 활기…회복 모멘텀 확산에 역량 집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구윤철, 경제관계장관회의 주재 모두발언 “부동산 안정과 자본시장 활성화에도 힘쓸 것” “초혁신경제·AI 대전환 위해 국가적 역량 집중”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최근 우리 경제는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며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정부는 어렵게 살아난 경기회복 모멘텀을 계속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효과에 힘입어 소비가 회복세를 보이고, 9월 취업자 수는 19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며 “주가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해...
기사 본문
성장전략 TF 회의서 경기 활기 강조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29일 개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20.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어렵게 살아난 경기회복 모멘텀을 계속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경기 회복 근거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효과에 힘입어 소비 회복세 ▷9월 취업자 수 19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31만2천명) ▷주가 새정부 출범 이후 역대 최고치 경신(38.9% 상승) 등을 제시했다. 코스피 지수는 새정부 출범일(6월 2일) 2,698.97에서 이달 17일 종가 기준 3,748.89로 올랐다. 구 부총리는 "29일부터 다...
기사 본문
부총리, 20일 경제관계장관회의 주재 모두발언 "10월29~11월9일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개최" "부동산 안정과 자본시장 활성화에도 힘쓸 것" "초혁신경제·AI 대전환 위해 국가적 역량 집중"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0. scchoo@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최근 우리경제는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며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 정부는 어렵게 살아난 경기회복 모멘텀을 계속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구 부총리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효과에 힘입어 소비가 회복세를 보이고, 9월 취업자 수는 19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
기사 본문
구 부총리는 오늘(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며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어렵게 살아난 경기회복 모멘텀(계기)를 계속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열어 국가적인 소비 붐업을 일으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10개 부처와 3만 개 유통사가 대규모 할인 캠페인으로, 상품권·여행·문화 등을 아울러 이달 29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열립니다. 상생 페이백은 다음 달 소비분까지 시행한다고 전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또 “시중자금이 생산적 부문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부동산시장 안정과 자본시장 활성화에도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정부가 기업 성장을 위한 든든한 도약대가 되겠다”며 “초혁신 경제와 인공지능(AI) 대전환 달성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철강과 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방안도 신속하게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