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제대로 날개 달았다…ETF 한달 수익률만 20%[마켓시그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리 인하·각국 중앙은행 수요 증가 영향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적지 않아 금 시세 그래프가 화면에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금값이 역대급 고공행진을 벌이면서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평균 수익률도 최근 한 달간에만 2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피가 연달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자산인 주식이 초강세를 나타내는 동시에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심리도 뜨거워지는 이례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한 달 평균 금 관련 ETF로 분류되는 상품 7종의 수익률은 20.6%로 집계됐다. 이 기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은 29.0%를 기록한 ‘ACE KRX금현물’로 나타났다. ‘TIGER KRX금현물’이 28.9%로 뒤를 이었다. ‘SOL 국제금’(18.0%)과 ‘KODEX 금액티브’(17.7%) 등도 20%에 가까운 수익률을 보였다. 지난해 3월 2000 달러 수준이었던 금 현물 가격은 16일(현지시간...
기사 본문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09:00~10:00) ■ 진행 : 조태현 기자 ■ 방송일 :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 대담 : ☎ 조규원 스태커스 대표 - 올들어 금값 상승률 60%, 美 S&P500보다 4배 더 높아 - 트럼프發 시장불안감에 금리인하기 겹쳐 금 수요 더 높아지는 중 - 금값에 이어 은값 상승률도 역대 최고치 돌파..AI·5G· 전기차 수요까지 겹쳐 공급부족 사태 - 금값 단기 과열, 김치 프리미엄 경고도..단, 10~13년 상승 사이클로 보면 2030년 금 1돈, 300만원 예상 - 金, 2008년 금융위기 -20%..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서 금 투자 리스크 존재 - 자산 포트폴리오의 10% 금에 투자, KRX나 ETF 통한 투자 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조태현 : YTN 라디오 생생경제 2부 시작하겠습니다. 금값 요즘 굉장히 핫하죠. 사상 최고치를 ...
기사 본문
‘양베리’ 조규원 스태커스 대표 화폐 한계 드러날 때마다 금이 대안 중앙銀 금 매입↑·달러 신뢰 약화 금은 신뢰의 상징…분산 투자 필요 조규원 주식회사 스태커스 대표가 ‘금의 슈퍼사이클이 온다. 나만 알고 싶은 구매 꿀팁까지’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역사적으로 살아 남았던 화폐는 금 하나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 ‘금·은 투자 전문가’로 유명한 ‘양베리’ 조규원 스태커스 대표는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헤럴드머니페스타 2025’에서 ‘금의 슈퍼사이클이 온다. 나만 알고 싶은 구매 꿀팁까지’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조 대표는 인류 화폐의 역사와 중앙은행의 금 매입 추세를 통해 “현대 화폐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날 때마다 금이 대안으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로마 제국 시절 은화 ‘데나리우스’를 예로 들며 “로마조차 돈이 부족해 은화에 구리를 섞어 발행량을 늘렸다. 화폐 가치를 떨어뜨려 국가가 이...
기사 본문
금 보유량 104.4톤…2013년 매입 후 중단 금 1년 새 50% 급등, 안전자산 가치 재조명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올해 금값이 50% 급등했지만 한국은행은 10년 넘게 금 매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이 금 보유 확대를 중장기 과제로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의 금 보유 현황을 점검한 결과, 한은의 금 보유량은 104.4톤(외환보유액의 약 1.2%)에 불과했다. 마지막 매입은 2013년 2월(20톤) 이후 10년 넘게 정체 상태다. 이달 기준 국제 금 가격은 온스당 약 4400달러로 1년 전 대비 50% 정도 급등했다. 최근 미국 금리 인하 전망, 달러 약세, 지정학적 긴장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220억달러로, 세계 10위 규모임에도 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이다. 글로벌 추세에 비해 리스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