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클러스터 내년 첫 선정…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 본격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 성장전략TF 및 경제관계장관회의 개최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 두 번째 구체화 K뷰티 수출전략 다각화, 세계 수출 2위 목표 스마트농업 도입률 5년 내 16%에서 35%로 지난달 1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5 K-뷰티 엑스포 코리아'에서 외국인 관람객들이 뷰티용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글로벌 화장품 수출 2강'을 위해 'K뷰티 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K뷰티 관련 체험, 문화, 관광, 산업이 융합된 집적지를 한 군데 선정해 K뷰티의 성지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스마트농업 도입률도 2030년까지 35%로 확대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및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는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개발·활용 △K바이오 △K뷰티 등 5개 프로젝트다. 정부는 앞서 잠재성장률 반등을 위해 초혁신경제 15...
기사 본문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정부가 국가 안보와 기후 위기 대응에 필요한 초고해상도 광학위성의 핵심기술 개발에 나섭니다. 또 오는 2030년까지 스마트 농·수산업 도입률을 각각 35%와 10%로 끌어올리고,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화장품 수출 2강 도약을 위해 체험과 관광 등이 융합된 통합 클러스터도 조성합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성장전략 TF 및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지난달에 이어 '초혁신 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두 번째 추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오늘 발표된 2차 추진 계획에선 초고해상도 위성·활용, 스마트 농업과 수산업 도입, 인공지능 바이오 오픈 생태계 구축, K-뷰티 통합클러스터 조성 등 5개 프로젝트가 포함됐습니다. 정부는 먼저 현재 30cm급에 머물고 있는 초고해상도 광학위성 핵심기술을 자체 개발과 인력 양성 등을 통해 오는 2029년까지 10cm급 기술로 발전시키고, 인공지능 기반 기후예측모델도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약...
기사 본문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스마트 농·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 인공지능(AI) 바이오, K-뷰티 등 추진 계획을 확정했다. 소비 진작 행사와 환급 프로그램을 연계해 경기 회복 흐름 유지에 나선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계획'과 인공지능(AI) 릴레이 현장간담회 후속 조치 등을 논의했다. 프로젝트는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 인공지능(AI) 바이오, K-뷰티 등 5대 분야로, 2026년 혁신 선도지구 지정과 민관 합동 추진단 운영 등 패키지 지원을 통해 단기간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농업은 도입률을 2024년 16%에서 2030년 35%로, 스마트수산업은 2025년 2.7%에서 2030년 10.0%로 끌어올리는 계획이다. 관련 연구개발(R&D)·인력양성·금융지원 등 세부 로드맵은 올해 11월까지 마련한다. 초고해상도 위성 분야는...
기사 본문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 [뉴시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로 내년초 K-뷰티 통합 클러스터와 인공지능(AI) 바이오 혁신거점지구를 선정한다. 또 스마트 농·수산업 선도지구 지정과 10cm급 초고해상도 위성 기술 개발, 산·학·연과 병원이 연계한 바이오 거점 구축 등에 나선다. 정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정부는 15대 프로젝트 중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개발·활용 ▷K-바이오 ▷K-뷰티 등 5개 분야에 대한 지원 방안을 우선 밝혔다. 스마트농업은 시설원예 중심으로 도입률을 지난해 16%에서 2030년 35%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농업 솔루션 보급농가 누적 4400호, 내년 스마트농업 혁신 선도지구(1개소) 지정, 2027년 한국형 K-스마트팜 모델 확산 등이다.이를 위해 LG C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