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급증…‘초강력 대책’ 이유 있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직방, 국토부 실거래 데이터 분석 9월 신고가 비중 24%로 반등 서초·광진·과천이 절반 넘어 “거래·심리 확산 막기 위해 규제 강화”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잠시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지난 9월 신고가 거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격 상승 흐름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벨트(마포·용산·성동구)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퍼지는 양상이 포착돼,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가격 상단 압력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단행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의 모습.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이런 내용의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 분석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서울 내부에서도 기존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뚜렷했다. 9월 기준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은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
기사 본문
서초·광진·과천, 신고가 거래 비중 절반 넘어 ⓒ데일리안DB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시장이 9월부터 거래 회복과 함께 가격 반등 흐름을 보였고, 상승은 강남 3구와 한강벨트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됐다.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러한 상승 압력이 확산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로 해석된다. 20일 직방이 올해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확대됐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거래가 살아나면서 가격대가 상단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확인된 셈이다.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기준 기존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
기사 본문
서울 신고가 비중 6월 22%→9월 24%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서울 주택 시장이 지난달 거래 회복과 가격 반등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뉴스1 20일 직방이 2025년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기준 기존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다. 마포구(44%)·성동구(43%)·광진구(50%)·동작구(36%)·강동구(37%) 등 신규 규제지역 역시 신고가...
기사 본문
서초 54%, 광진 50%…한강벨트도 40%대 과천 57%, 분당 43% 등 경기권 신고가↑· [서울=뉴시스] 월간 매매거래량 및 신고가 비중. (그래픽=직방 제공) 2025.10.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6·27 대출 규제 후 주춤했던 아파트 매매 시장이 다시 들썩이면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직전까지 신고가 거래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직방이 2025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지난 9월 기준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다. 마포구(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