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건설업 부진, 경력직 채용 관행에…청년 고용률 17개월 연속 하락

2025년 10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0-20 08:0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부산일보 2025-10-19 09:50:14 oid: 082, aid: 0001349444
기사 본문

9월 청년층(15~29세) 고용률 45.1% 전년동기와 비교해 17개월 연속 하락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내리막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내리막을 걷고 있다. 사진은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를 찾은 취업준비생들이 부스를 둘러보는 모습. 연합뉴스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내리막을 걷고 있다. 청년 고용률 하락세는 외부의 일시적인 충격이 아닌 양질 일자리 부족, 경력직 위주 채용 등 내부 요인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해법을 찾기 쉽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1년 전과 비교해 17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당시 경기 부진 등 여파로 청년층 고용률은 2005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51개월간 하락했다. 고...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05:47:14 oid: 001, aid: 0015686069
기사 본문

전체 고용률은 사상 최고…청년은 16년 만에 최장 하락 저성장·경력직 선호…일자리 찾다 지친 청년들 '쉬었음' 이탈 캄보디아에서 인천공항으로 송환된 한국인 구금자 (영종도=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2025.10.18 [공동취재] ksm7976@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청년 고용률이 약 16년 만에 최장기간 감소세를 이어가며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해법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해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전...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0 06:04:19 oid: 022, aid: 0004076130
기사 본문

9월 45.1%… 1년 새 0.7%P 떨어져 제조업 일자리 부족·경력 채용 영향 9월 청년층 ‘쉬었음’ 인구 40만 돌파 2026년 수출 둔화 전망 고용 하방 압력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제조업 등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경력직 위주 채용 기조가 지속되면서다. 19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떨어졌다. 17개월 연속 하락세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청년층 중 핵심 연령대로 꼽히는 20대 후반(25~29세) 고용률 역시 지난달 0.6%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17일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 채용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청년 고용시장이 부진한 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점이 원인으로 꼽힌다. 임금과 고용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로 평가되는 제조업과 건설업은 지난달 각각 6만1000명, 8만4000명...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9 13:32:09 oid: 022, aid: 0004075993
기사 본문

청년 고용률이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약 16년 간 최장기간 감소세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면서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서울 성북구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 센터에 취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바닥없는 청년층 고용률 하락 19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수)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하락했다. 전년 동월대비 17개월 연속 하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51개월)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현재 한국 고용시장은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양상이다. 그나마 한국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 산업은 자본 집약적...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