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韓 'HBM 인재' 확보 착수...'설계부터 제조까지' 급구

2025년 10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3개
수집 시간: 2025-10-20 07:27: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전자신문 2025-10-19 11:14:14 oid: 030, aid: 0003360293
기사 본문

마이크론 HBM4 미국 마이크론이 한국 고대역폭메모리(HBM) 인재 확보에 뛰어들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한국 HBM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한국 지역에서는 HBM 베이스 다이(Base Die) 설계 엔지니어를 구하고 있다. 베이스 다이는 D램을 수직 적층해 만드는 HBM의 가장 밑 단에 위치한다. 지금까지 HBM 입출력(I/O)과 통상적인 D램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HBM4부터는 메모리 컨트롤러 등 시스템 반도체 핵심 기능도 포함된다. 고객별로 서로 다른 요구사항에 대응, '맞춤형 HBM'을 구현하기 위해서다. 설계 뿐 아니라 제조 영역에서도 한국 HBM 인력 모시기에 나섰다. 마이크론은 대만 타이중 공장(팹)에서 일할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은 마이크론의 D램 최대 생산기지로, HBM도 이곳에서 제조된다.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 이...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06:27:08 oid: 001, aid: 0015686114
기사 본문

올해도 한국 엔지니어에 전방위 오퍼…작년 탈락자에도 러브콜 '캐파 확대' 마이크론, SK하이닉스·삼성과 HBM 주도권 경쟁 치열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글로벌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 미국 마이크론이 한국인 엔지니어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AI) 필수 반도체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수요가 여전히 견조한 데다, 메모리 업체들의 핵심 승부처가 된 HBM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 마이크론 본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1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D램 생산기지로 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채용 방식은 현지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들의 이력·프로필을 보고 접촉해 포지션을 제안하는 식이다. HBM과...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0 06:02:17 oid: 022, aid: 0004076112
기사 본문

세계 3위 마이크론, 케파 확대 韓 ‘HBM·패키징 인력’ 러브콜 삼성·SK하이닉스도 경력 채용 AI發 수요 대비 주도권 잡기 총력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반도체 업계 ‘슈퍼 사이클(장기 호황)’이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기업들은 첨단기술 인재가 많은 경쟁국과 경쟁사에서도 핵심 인재를 데려오려고 채용문을 넓히는 중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에서 일할 글로벌 엔지니어들을 채용하고 있다.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기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차세대 AI 가속기용 HBM4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 HBM 개발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마이크론은 주로 HBM과 패키징 관련 직무 인재들을 채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마이크론은 HBM 생산능력 확대를 위...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9 15:02:12 oid: 022, aid: 0004076010
기사 본문

미국 마이크론이 한국인 엔지니어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AI) 필수 반도체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수요가 견조한 데다, 메모리 업체들의 핵심 승부처가 된 HBM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D램 생산기지로 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사진=AFP연합뉴스 채용 방식은 현지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들의 이력·프로필을 보고 접촉해 포지션을 제안하는 식이다. HBM과 패키징 관련 직무가 다수로, 일부 엔지니어에겐 임원급 직무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이 제안한 임원급 직무의 연봉은 회사 내부 직급에 따라 차이는 있다. 업계에선 최대 2억원대(보너스 등 포함)로 추정한다. 오퍼를 받은 한 엔지니어는 "지난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