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오르고 금융채 금리 상승…곳곳서 시장금리 뒤틀린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출규제에 금융시장 불안 겹쳐 자영업자 보증서 금리는 하락세 기준금리보다 낮은 은행 예금도 [서울경제]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와 부동산 대책, 금융시장 불안이 겹치면서 곳곳에서 시장금리가 역전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저신용자에게 낮은 금리를 적용하라는 정부의 방침마저 현실화할 경우 국내 금리 체계가 완전히 뒤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① 뒤집힌 주담대·코픽스 금리 차…3년 3개월만 최대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예금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4.08%다. 코픽스 금리(2.49%)와의 격차는 1.59%포인트로 2022년 5월(1.79%포인트) 이후 가장 크다. 코픽스는 변동형 대출금리를 산정할 때 쓰는 일종의 기준금리다. 최종 대출금리에서 코픽스를 뺀 값이 커졌다는 것은 은행이 정부의 주담대 관리 요구에 가산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총량을 관리했다는 의미다. 실제로 8월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6·27 대책’ 이전인 6월(3...
기사 본문
10월 동결 100%…다음 인하 시점 갈려 11월 인하 66.7%…'내년 하반기'·'인하 끝' 전망도 금리 결정 후 '이창용 총재 메시지' 주목도↑ 절반은 내년 최종금리 2.00%…2.25%도 33.3% 오는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상황에서 전문가 전원이 금리 유지(연 2.50%)를 전망했다. 추석 연휴 이후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패닉바잉(공황 매수)'이 발생하는 등 주택가격 급등세가 강화한 영향이다. 3500억달러 대미투자 관련 한미 간 이견 등으로 환율 불안이 커진 점도 이달 금리 동결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통위 이후 열릴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 발언에 시장이 어느 때보다 주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다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문가 의견이 크게 갈렸다. 다수가 11월로 예상했으나, 일부는 내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로 이연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내년에도 부동산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 전망이 개선되면서 인...
기사 본문
아시아경제 전문가 15인 설문조사 韓 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한은 전망보다 높아 금리 결정 최대 변수는 '수도권 집값·가계부채' 부동산 안정 위해서는 '공급확대 신호 강화'해야 경제 회복엔 '신성장동력 투자' 가장 많아 23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국내 대다수 전문가가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한은 전망치보다 높게 잡았다. 한미 관세 협상에 따른 하방 위험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출 호조가 저성장을 방어할 것으로 봤다. 경제 저성장 우려가 다소 완화하면서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의 무게중심이 금융안정으로 기울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일제히 부동산 집값과 가계부채가 금리 결정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부동산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확대 신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올해 성장률 1%대 대다수 …전문가 90% "내년 1.7% 이상" 20일 아시아경제가 국내외 경제연구소·증권사·은행·학계 등 경제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지난 14~17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사 본문
연내 인하도 불투명…"반도체호조·소비심리회복에 경기부양 부담 줄어" "美 연준은 경기 둔화 우려에 연내 두 차례 인하 가능성"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은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8.2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대부분 경제 전문가들은 오는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6·27 대책 이후에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진정되지 않아 10·15 대책까지 나온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낮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 불씨를 되살리고 '정책 엇박자' 논란을 자초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더구나 미국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에 최근 원/달러 환율까지 다섯달여 만에 다시 1.430원대까지 치솟은 만큼, 금리 인하가 환율 불안을 부추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