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분할송금 등 외화유출 감시 강화 정부가 이르면 내년부터 은행,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비(非)은행권의 해외 송금 내역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외화 유출 감시를 강화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동행 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해외 송금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 외화가 과도하게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한국은행 외환 전산망을 기반으로 개인의 해외 송금 내역을 전 업권에 걸쳐 통합·관리하는 ‘해외송금 통합관리시스템’을 내년 1월까지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시스템이 가동되면 개인별 송금 내역이 저장되고 은행은 물론 핀테크 등 모든 송금업체가 개인별 송금 잔여 한도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현재는 은행권만 정부 시스템을 통해 개인당 연간 10만달러의 무증빙 해외 송금 한도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있다. 비은행 업권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어 개인당 연간 무증빙 송금 한도를 업체별로 연간 5만달러로 제한...
기사 본문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IMF/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동행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연합뉴스)] 내년부터 은행과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모든 업권을 합친 무증빙 송금한도가 연 10만달러로 제한됩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 D.C의 IMF 본부에서 가진 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1월 가동을 목표로 해외송금 통합관리시스템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간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업체별로 5만달러 송금한도가 각각 부여돼 '규제 사각지대'로 꼽혔던 과도한 분할송금을 막는 취지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 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기사 본문
업권 간 송금한도 형평성 개선 외환관리 강화 기대 정부가 추진 중인 '해외송금 통합관리시스템(ORIS·Overseas Remittance Integration System)'이 내년 1월부터 본격 가동된다. 은행뿐 아니라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전 업권의 해외송금 내역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외환 유출 관리 강화와 국민 편익 제고를 동시에 목표로 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진행한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 현재 업권별로 분리된 해외송금 관리체계를 하나로 통합해 내년 1월 정식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ORIS는 개인별 해외 송금내역을 한데 합산·저장하고, 이를 송금업체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은행권은 물론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모든 업권이 참여하는 실시간 해외송금 모니터링 체계로, 각 기관의 송금 내역이 ORIS를 통해 자동으로 공유된다. 이를 통해 ...
기사 본문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IMF/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 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동행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제공=기재부 내년부터 은행뿐 아니라 핀테크·카드사·증권사 등 모든 업권을 합친 무증빙 송금한도가 연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제한될 전망이다. 업권별 송금한도 관리시스템이 없어 업체별로 5만달러 송금한도가 각각 부여됐던 핀테크·카드사·증권사 등을 활용한 과도한 분할송금이 막힌다는 의미다. 외환당국은 이를 통해 과도한 외환 유출을 막고 은행 외 기타업권을 활용한 분할송금, 우회거래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IMF(국제통화기금) 본부에서 가진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내년 1월 가동을 목표로 해외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