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는 어디에? 기발하네”…삼성전자, 中 ‘QLED 허위 광고’ 직격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삼성전자 ‘진짜 QLED는 어디에?’ [사진 = 삼성 글로벌 유튜브 캡처] 삼성전자가 중국 TV 업체의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허위 광고를 직격하는 마케팅을 진행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진짜 QLED는 어디에?’라는 섬네일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은 TV 마케터가 가짜 QLED TV를 진짜인 것처럼 판매하면서 겪는 내면의 갈등을 표현했다. QD는 전기에너지를 받으면 빛을 내는 머리카락 굵기 수만분의 1에 해당하는 초미세 반도체 입자다. 디스플레이의 밝기, 명암, 색상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 QLED는 필름 내 퀀텀닷 소재를 3000ppm 이상 포함하고 있다. 광대로 분장해 모습을 숨긴 마케터가 ‘진짜 QLED는 어디에?’(Where is the real QLED?)라며 고민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는 중국 TV 업체의 ‘리얼 QLED’ 의혹을 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광고가 생성형...
기사 본문
삼성전자가 중국 업체의 QLED TV를 '가짜'에 비유해 자사의 상품성을 은유적으로 내세운 광고가 화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진짜 QLED는 어디에?'라는 썸네일의 영상을 게재했다. 영상의 주요 내용은 한 TV 마케터가 가짜 QLED TV를 진짜로 판매하게 되면서 겪는 내면의 갈등을 표현했다. 광대로 분장해 본인의 본 모습을 가리고 가짜 QLED TV를 진짜라고 말하며 판매하게 되는 영상이 나오며 맨 마지막에 '진짜 QLED는 어디에'(Where is the real QLED)라며 고민하는 광대의 모습이 AI로 그려진다. 이 영상은 최근 삼성과 중국 TV 업체의 '리얼 QLED' 논쟁을 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 영상이다. 서양에서는 광대가 현실을 왜곡하거나 속이는 존재로 해석한다. 이를 이용해 삼성전자는 자사의 QLED TV가 진짜라는 이미지와 가짜와 잘 구분해야 한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 이 영상을 제작한 ...
기사 본문
광대로 분장한 中 TV 마케터 ‘가짜 QLED’로 갈등 영상 올려 삼성전자가 16일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의 마지막 장면. 중국 TV 업체들의 허위 광고를 겨냥하며 “진짜 QLED는 어디에 있느냐”고 묻고 있다. 삼성 글로벌 유튜브 캡처 “진짜 QLED는 어디에 있나요?”(Where is the real QLED?) 삼성전자가 중국 TV 업체들의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TV 허위 광고를 겨냥한 풍자 영상을 올려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16일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진짜 QLED: 실체를 감춘 광대’(Real QLED: The Clown Behind It All)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려 한 TV 마케터가 가짜 QLED TV를 판매하며 갈등하는 모습을 담았다. 영상 속 해당 제품은 QLED TV가 갖춰야 할 퀀텀닷(QD)시트와 청색광 백라이트가 없는데도 LED TV에 단순히 글자 ‘Q’만 더해 QLED TV로 꾸며져 있다. 마케터가 의문을 품자 그의 상사는 ...
기사 본문
삼성전자의 QLED 마케팅 영상.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 캡처 [서울경제] 삼성전자가 중국 TV업체들의 ‘가짜 QLED’ 논란을 정면으로 겨냥한 마케팅 영상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진짜 QLED는 어디에?(Where is the real QLED?)’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은 ‘가짜 QLED TV’를 판매하는 마케터가 광대로 분장한 채 “진짜 QLED는 어디에?(Where is the real QLED?)”라며 괴로워하는 장면을 담았다. 중국 TV업체들이 ‘리얼 QLED’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인 제품의 진위 논란을 풍자한 것으로 해석된다.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TV는 퀀텀닷(QD) 소자를 적용한 프리미엄 LCD TV로, QD는 전기에너지를 받아 빛을 내는 초미세 반도체 입자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자사 QLED는 필름 내 QD 소자를 3000ppm 이상 포함하고 있다. 반면 중국 TCL·하이센스 등 일부 업체는 QD 소자가 아예 없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