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환율 부담에 10월 금통위 동결 ‘유력’…한은, 연내 인하 대신 금융안정에 무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집값·환율 부담에 금융안정 우선 정부 대책 효과 확인 후 인하 검토 한국은행이 오는 23일 10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2.5%다. 시장에서는 일단 금통위가 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좀처럼 진정되지 않는 서울 집값에다 미중 관세 갈등 재점화와 고공행진 중인 환율까지 겹치며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가는 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한은에 따르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할지 조정할지 결정할 예정이다.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는 것은 집값이다. 6·27 대책 이후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서울 주택시장은 9·7 공급 대책 발표 이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7% 오르며 오름폭이 확대됐다. 거래량도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기사 본문
전문가 10명 '23일 금통위' 전망 금융안정 우선 '11월 인하' 우세 부동산 불안땐 연내 불가 의견도 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꺾이지 않는 서울 집값과 높은 환율 변동성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이 이번에도 금리인하를 미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음 금리인하 시점은 11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부동산정책 효과를 확인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내년으로 추가인하 시점이 지연될 것이란 의견도 있다. 19일 머니투데이가 채권시장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0명 모두 오는 23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연 2.5%다. 전문가들이 10월 금리동결을 유력하게 보는 것은 '부동산' 때문이다. 6·27 대책 등으로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말부터 재반등하면서다. 지난 15일 정부가 세 번째 추가 부동산대책을 내놨지만 효과를 확인하기엔 시간이 ...
기사 본문
한경 이코노미스트클럽 설문 "이달 금리 동결…부동산·환율 부담 커" "10·15 대책 영향 지켜볼 것" 한경 이코노미스트 클럽 경제전문가 20명은 부동산과 외환시장 불안 등으로 한국은행이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연 2.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12명(60%)은 다음달 금리를 내릴 것으로 봤다. 한국경제신문이 19일 한경 이코노미스트 클럽 경제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전원(100%)이 이번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올해 2월과 5월에 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린 뒤 7월과 8월 금리를 동결했다. 전문가들이 한은이 세 번 연속 동결할 것으로 본 것은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어서다. 박석길 JP모간 본부장은 “(한은이)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 조치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15일 내놓은 ‘10·15 부동산 대책’의 효과를...
기사 본문
■서경 금통위 서베이 부동산 시장 과열 조짐에 '멈춤' 내달 마지막 금통위서 인하 전망 주택가격 등 불안 완화 조건 붙여 부동산 대책은 "수요 억제 치중" [서울경제] 국내 경제 전문가들이 2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현 수준인 연 2.5%로 동결될 것으로 일제히 내다봤다.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지 일주일밖에 안 돼 그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이른 데다 원·달러 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금리 인하는 11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서울경제신문이 19일 경제·경영학 교수와 채권 애널리스트 등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전원이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동결 이유로는 ‘부동산·가계부채(80%)’가 가장 많았고 이어 ‘환율(15%)’ ‘기타(5%)’ 순이었다. 우혜영 LS증권 연구원은 “8월 금통위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 계약 건수가 다시 늘고 주택가격전망지수도 지속해서 상승하는 등 시장 과열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