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된 대책 백약무효…캄보디아 취업사기까지 내몰린 청년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체 고용률은 사상 최고…청년은 16년 만에 최장 하락 저성장·경력직 선호…일자리 찾다 지친 청년들 '쉬었음' 이탈 캄보디아에서 인천공항으로 송환된 한국인 구금자 (영종도=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2025.10.18 [공동취재] ksm7976@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청년 고용률이 약 16년 만에 최장기간 감소세를 이어가며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해법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해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전...
기사 본문
청년 고용률이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약 16년 간 최장기간 감소세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면서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서울 성북구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 센터에 취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바닥없는 청년층 고용률 하락 19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수)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하락했다. 전년 동월대비 17개월 연속 하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51개월)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현재 한국 고용시장은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양상이다. 그나마 한국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 산업은 자본 집약적...
기사 본문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제조업 등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는 데다 경력직 위주 채용 기조가 지속되면서다. 내수 회복의 온기가 청년층 고용시장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내년에는 수출 경기 불확실성도 커질 것으로 예측돼 청년층의 어려움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낮아졌다. 17개월 연속 하락세로,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특히 청년층 중 핵심 연령대로 꼽히는 20대 후반(25~29세) 고용률 역시 지난달 0.6%포인트 하락했다. 고용률은 인구 대비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만큼 인구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취업자 수’ 대비 실질적인 고용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17일 서울 마포구 고용노동부 서울서부고용센터를 찾은 청년이 상담에 앞...
기사 본문
지난 6월 11일 경기도 하남종합운동장 제2체육관에서 열린 2025 하남시 일자리박람회에서 고령 구직자가 취업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60세 이상 고용률이 9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1년 전보다 38만1000명 늘 때 청년 취업자는 14만6000명 줄었다. 최근의 ‘고용 호조’ 통계는 노인 일자리가 빚어낸 착시일 뿐, 고용 시장엔 여전히 냉기가 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60세 인구 대비 취업자 수를 나타내는 고용률은 지난달 48.3%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월부터 9개월 전년 대비, 연속 상승 흐름이다. 9월 기준으로는 물론, 전체 기간으로 봐도 지난 5월(48.3%)과 동일한 역대 최대다. 2020년 9월(44.2%)과 비교하면 5년 새 4.1%포인트 늘었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요양보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