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전략광물 갈륨 생산한다…中 수출통제 대응

2025년 10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6개
수집 시간: 2025-10-20 03:37:3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0-19 11:43:09 oid: 018, aid: 0006141569
기사 본문

557억 투자해 갈륨 회수 공정 신설 반도체·LED 등 첨단산업 필수 소재 中 독점 맞서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고려아연이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을 공급하기 위한 공장 신설에 나선다. 이번 고려아연의 전략적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고려아연은 올해 10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t)의 갈륨을 생산, 약 110억원의 이익(갈륨 가격 1kg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갈륨은 반도체와 LED(발광다이오드), 고속 집적회로 등 주요 첨단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핵심 전략광물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자원안보특별법에서 정한 핵심광물 33종의 하나로 갈륨을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에너지법에 따...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20 03:03:12 oid: 020, aid: 0003668207
기사 본문

“2028년부터 年15.5t 생산” 중국이 생산망을 틀어쥔 채 수출 규제에 나선 희토류 ‘갈륨’을 고려아연이 국내에서 자체 생산한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총 557억 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 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투입해 반도체 제작 등에 쓰이는 갈륨 회수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설이 2028년 중 상업 가동에 들어가면 연간 15.5t 규모의 갈륨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했다. 현재 시세인 kg당 920달러(약 131만 원)를 적용하면 약 110억 원의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갈륨은 중국이 전 세계 공급량의 98.7%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7월부터 중국은 갈륨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고 지난해 말부터는 미국에 수출을 전격 금지했다. 갈륨 생산공정이 본격 가동되면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처리해 또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10:45:01 oid: 001, aid: 0015686339
기사 본문

온산제련소에 557억원 투자해 갈륨 회수공정 신설…"전략적 투자" '전세계 생산 98.7%' 中 수출통제로 수급 '비상'…"공급망 안정 기대" 질화갈륨 기반 반도체 소자 측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전략 광물 공급망 안정이 중요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고려아연이 반도체 핵심 원료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에 이어 갈륨 공장 신설에도 나선다. 글로벌 갈륨 시장을 중국이 완전히 장악한 상황에서 고려아연의 이번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는 연속 행보로 주목된다.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2년여간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온산 갈륨 공장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 후 본격적인 상업 가동에 들어가고, 연간 약 15.5t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한 기대 수익은 연 1...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19 16:00:38 oid: 029, aid: 0002987895
기사 본문

최윤범(가운데) 고려아연 회장이 최근 울산 온산제련소를 방문해 게르마늄 설비 신설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고려아연 제공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로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고려아연이 또 전략광물 공급망을 해소할 해결사로 나섰다. 게르마늄과 함께 중국의 희토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 공급을 위한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회사는 이번 공장 건설로 국내 자원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측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 규모의 갈륨을 생산해 약 110억원의 이익(갈륨 가격 1㎏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세계 갈륨 생산량은 연간 약 762톤으로, 이 중 98.7%(작년 기준)가 중국에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대미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등...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