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1황' SK하이닉스, 3Q 영업익 10조 건너뛰고 바로 12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9일 3분기 실적발표…'반도체 호황'에 12조 전망까지 나와 'HBM4 경쟁'에도 수익성 탄탄…"우호적인 시장 상황 지속" SK하이닉스 M16 전경. (SK하이닉스 제공) 2021.2.1/뉴스1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삼성전자(005930)에 이어 TSMC도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내놓으면서 SK하이닉스(000660)의 3분기 실적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속속 확인되고 있어 실적 전망도 계속 상향 조정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절대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전 세계 반도체 기업들이 '어닝 쇼크'를 경험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가운데서도 SK하이닉스는 HBM을 앞세워 역대 최고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 때문에 3분기 실적도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D램과 낸드 가격도 계속 오르고 있어 실적에 보탬이 되고 있다. 다만 SK하이닉스의 주 수익원이었...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이익 11조 추정 PC용 메모리 교체주기까지 맞물려… SK하이닉스 창립 이래 ‘최대 전망’ AI發 ‘슈퍼사이클’ 기대감 불 붙어… 美마이크론 中철수에 수혜 분석도 삼성전자(왼쪽), SK하이닉스. 국내 반도체 ‘투톱’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 3분기(7∼9월) 나란히 영업이익 ‘10조 클럽’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가 이번에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넘긴다면 이는 SK그룹이 회사를 인수한 2012년 이후 처음이다. 반도체 호황이 장기간 지속되는 ‘슈퍼사이클’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 HBM과 범용 메모리까지 ‘쌍끌이’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이 추정하는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은 11조3434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61.4% 증가한 수치다. 앞서 삼성전자가 3분기 12조1000억 원에 이르는 깜짝 영업이익을 발표한 뒤 SK하이닉스에 대한 실적 전망치는 상향 조정되고 있다. 3개월 전(10조1013억 원)과 비...
기사 본문
AI 열풍에 반도체 슈퍼 사이클 도래…하이닉스반도체 인수 14년만 (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삼성전자에 이어 국내 기업 중 2번째로 '10조 클럽'에 입성할 것으로 관측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12년 하이닉스반도체 인수 결정을 내린 이후 기술과 투자를 강조한 끝에 14년 만에 세운 기록이다. 미소짓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19일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발표된 증권사 실적 전망(컨센서스)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4조4천670억원, 영업이익 11조3천294억원으로 전망된다. 오는 29일 실적 발표 때 시장 전망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직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 2분기 매출 22조2천320억원과 영업이익 9조2천129억원을 1분기 만에 갈아치우는 셈이다. 증권가에서는 호실적의 배경으로 전 세계 인공지능(AI) 열풍에 따른 고...
기사 본문
3분기 메모리 세계 1위 회복 기대 범용 메모리 강세에 매출 25조~26조원 예상 SK, 29일 실적 공개…삼성과 근소한 차이 전망 영업익은 SK가 11조로 앞서…삼성 7조 추정 삼성전자는 지난 8월 5~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FMS 2025’에 참가해 AI 메모리·스토리지를 선보였다.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삼성전자 반도체가 3분기 기대 이상의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되면서 시장의 관심은 이제 SK하이닉스로 옮겨가고 있다. SK하이닉스가 내놓을 실적에 따라 글로벌 메모리 왕좌의 주인도 다시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 14일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 실적 발표 직후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제치고 메모리 시장 1위를 탈환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메모리 매출은 194억 달러(약 27조5600억원), SK하이닉스는 175억 달러(약 24조8600억원)로 추정했다. 카운터포인트 자료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