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난에 차 담보, 대부업 기웃…곡소리 내는 무주택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자동차 담보대출 150% 급증, 대부업체로 내몰리는 서민층 고금리·한도 축소에 무주택자 피해 확산, 금융 양극화 우려 갈수록 세지는 대출 옥죄기에 은행은 물론, 제2금융권의 대출 문턱까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실수요자들이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자동차 담보대출이나 대부업체로 내몰리고 있다. 부부 연 소득이 1억원을 넘어도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로 갈아타기는커녕, 중도금 마련조차 버거운 상황이 됐다. 무주택자들은 "집이 없는 것도 서러운데 이제는 대출조차 막혔다"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잇따른 정부의 6·27, 10·15 대출 규제가 오히려 실수요자에게 부담만 지우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19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약 두 달간 저축은행에 접수된 개인 자동차 담보대출 신청은 총 24만8000건으로 집계됐다. 영업일 기준 일평균 5636건으로 대출 규제 이전인 올해 1~5월 일평균 신청 건수인 22...
기사 본문
9월까지 24억…작년 총액 넘겨 - 캠코· aT 등 저리·한도초과 혜택 - 사학연금도 정부 지침 어겨 논란 국민은 대출 규제로 손발이 묶였지만, 공공기관들은 사내 대출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물론 최대 6억 원 주택담보대출 한도 규제를 사실상 무력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19일 국민의힘 김상훈 정성국,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이 각 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산업은행은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274억 원의 사내 주택 대출을 취급했다. 연간 대출액은 2020년 91억 원, 2021년 88억 원, 2022년 42억 원, 2023년 15억 원, 2024년 14억 원으로 계속 줄었지만, 대출 규제가 강화된 올해 들어 다시 증가한다. 지난달까지 취급된 주택대출은 2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가량 늘어난 규모다. 산은은 정부 지침도 지키지 않았다. 기획재정부는 2021년 발표한 ‘공공기관 혁신 지침’을...
기사 본문
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 차원에서 대출 문턱을 점차 높이고 있습니다. 여러 시중은행이 대출모집인 채널을 통한 가계대출 신청을 막은 데 이어 지점당 주택담보대출 취급 한도를 월 10억원으로 묶는 은행도 나왔습니다. 우리은행은 오는 11월과 12월 영업점별로 부동산금융상품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판매 한도를 월 10억원으로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개별 대출 한도가 줄어든 가운데 연말로 갈수록 은행의 대출 여력까지 줄면서 '대출 절벽'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기사 본문
은행 "실수요자나 투기세력이나 똑같은 규제…대출상담 중단 속출" 자고나면 바뀌는 규제에 혼란…생애최초구입·비주택담보대출 문의 빗발 잇단 규제에 1주택·무주택자도 발묶여…주담대 6억 줄기도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2025.8.10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수도권 집값을 잡기 위해 정부가 6·27, 10·15 등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를 줄줄이 내놓으면서, 금융소비자들은 유례없는 '대출 절벽'에 부딪히고 있다. 특히 집이 한 채뿐이거나 아예 없는 실수요자들조차 교육·결혼 등으로 집을 갈아타거나 새로 마련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출로 집값 부족분을 메우는 방식의 자금 계획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연소득 1.3억 부부, 5개월새 주담대 6억→4.4억…10억대 아파트도 포기 잇단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대출 한도가 불과 몇 달 새 크게 줄어든 탓에, 부부 합산 연 소득이 1억원을 넘어도 서울 안에서 10억원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