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동산 세제 개편 시동… 보유세 강화 ‘만지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가 부동산 세제의 전반적인 개편 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기획재정부(종부세·양도세)와 행정안전부(재산세·취득세), 국토교통부(공시가격)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가 중장기 논의를 시작했다. 19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뉴스1 전반적인 밑그림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 발표될 ’2026년 세제개편안’에 담기는 시간표가 유력하다. 정치권과 안팎에서는 보유세(종부세·재산세)를 강화하고 거래세(취득세)를 인하해 부동산 거래를 늘리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문제는 지자체 세수다. 취득세와 재산세는 지자체 재정의 근간이다. 지난해 취득세는 약 26조원으로 전체 지방세수의 22.8%를 차지했고, 재산세도 15조1000억원에 달했다. 반면 국세인 종합부동세 중 주택분 결정세액은 약 1조원에 불과하다. 집값을 떨어뜨리기 위해 종부세율을 대폭 올려도 취득세 인하에 따른 지방세수 감소분을 메우기는 역부족이라는 뜻이다. 세수 충격을 최소화하려...
기사 본문
현재는 장기 보유 후 팔면 절세 강남·한강벨트에만 수요 집중 구윤철 "보유세 인상 등 조치로 고가주택 보유 부담 크면 팔것" 이재명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부동산 세제의 전반적인 개편 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세율과 부과 방식, 부과 기준을 비롯해 종합부동산세에 적용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과 공시가격 현실화율 등 모든 사항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고가의 한 채를 선호하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을 자초한 과세 체계도 수술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19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세제당국인 기획재정부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가 폭넓게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 차원의 논의를 거쳐 부동산 세제 개편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시행령 개정으로 즉각 조치해야 하는 특정 사안을 제외한다면 전반적인 밑그림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에 발표되는 세제 개편안에 담기는 시간표가 유력해 보인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6일(현지시...
기사 본문
부동산 세제개편 TF, 종부세·재산세·취득세·양도세까지 종합검토 공정비율 올리고 공시가격 차등 현실화?…다주택 vs 똘똘한 한채 '쟁점' 부동산세제 개편핑(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송정은 기자 = 정부가 부동산 세제의 전반적인 개편 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여당과 정부 일각에서는 '집값을 잡기 위해 보유세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부동산 가격만을 유일한 타깃으로 세제를 손보기는 어렵다. 정책의 역효과 우려도 크다. 집값상승 기대심리가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보유세 증세'는 집값 안정은커녕 전월세 시장을 중심으로 또 다른 부작용만 불러올 가능성도 크다. 결국 보유세를 강화하더라도, 부동산 세제를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는 큰 틀의 개편작업과 맞물려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세제 당국인 기획재정부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가 폭넓게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 차원의 중장기 논의를 거쳐 부동산세제 ...
기사 본문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부동산 세제의 전반적인 개편 작업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여당과 정부 일각에서는 '집값을 잡기 위해 보유세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부동산 가격만을 유일한 타깃으로 세제를 손보기는 어렵습니다. 정책의 역효과 우려도 큽니다. 집값상승 기대심리가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보유세 증세'는 집값 안정은커녕 전월세 시장을 중심으로 또 다른 부작용만 불러올 가능성도 큽니다. 결국 보유세를 강화하더라도, 부동산 세제를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는 큰 틀의 개편작업과 맞물려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세제 당국인 기획재정부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가 폭넓게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 차원의 중장기 논의를 거쳐 부동산세제 개편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기재부는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를, 행안부는 재산세·취득세를, 국토부는 공시가격을 관할합니다. 시행령 개정으로 즉각 조치해야 하는 특정 사안을 제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