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가 캄보디아 범죄단지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 등에 대한 금융제재에 나설 예정입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은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대해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금융위는 이달 중에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제재에 나설 계획입니다. 현재 유력한 제재 대상으로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과, 이들의 자금 세탁 통로로 지목된 '후이원 그룹'입니다.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되면 금융위의 사전 허가 없이 국내에 있는 금융, 부동산 등 재산 거래는 제한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기사 본문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법 따라 제한 가능 금융거래 제한 물론 부동산·채권 등도 동결 미·영, 프린스 그룹 제재에 '세컨더리 보이콧' 동남아 범죄자금 '코인 세탁' 테마 점검도 예고 18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중심가 센속에 있는 프린스 그룹 본사 앞 도로에 차량이 지나가고 있다. 프놈펜(캄보디아)=연합뉴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인 납치·감금·살인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정부도 관련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할 전망이다. 미국과 영국 정부가 '프린스 그룹' 관련 기업·개인 등에 대한 제재에 나서겠다고 하면서 한국 정부도 이 대열에 합류하는 것이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위는 공중 등 협박목적 및 대량살상무기확산을 위한 자금조달행위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람을 체포·감금·약취·유인하거나 인질로 삼는 행위'를 하는 개인, 법인 단체를 금융거래 ...
기사 본문
금융위, 일체 자산거래 금지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대상 납치·감금·살인 사건이 잇따르자 정부가 이르면 이달에 관련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들어갈 전망이다. 미국과 영국이 최근 캄보디아의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 등을 공동 제재하기로 한 데 이어 한국 정부도 실질적인 압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내 범죄 관련자들을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위는 테러자금 조달,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 국제적 불법 행위에 연루된 개인·법인·단체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으로 지정·고시할 수 있다. 금융거래 제한 대상에 오르면 금융위의 사전 허가 없이 금융, 부동산, 채권 등 일체의 자산 거래가 금지된다. 사실상 자금 동결 조치로, 불법 재산의 이동을 원천 차단하는 목적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캄보디아 내 조직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제재할지 부처 간 논의 중”이라며 “대...
기사 본문
금융위 허가 없이 재산 거래 금지…자산 동결로 실질적 압박 가할 듯 동남아 범죄자금 '코인 세탁' 테마 점검도…의심거래보고 강화 프린스그룹 등 범죄조직 배후 금융제재 검토 중인 정부 (프놈펜=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 등 조직범죄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할 전망이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력 제재 대상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금융서비스 기업 '후이원 그룹(Huione Group)' 등이 거론된다. 사진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 프린스그룹 본사 건물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2025.10.19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강수련 임지우 기자 =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인 대상 납치·감금·살인이 잇따르면서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