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황제' 젠슨 황, 한국 찾는다…APEC CEO 서밋 참석 확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최태원 직접 초대로 첫 방한 성사…韓 기업과 AI 협업 주목 황 CEO, AI·로보틱스·자율주행 등 엔비디아 비전 공유 예정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엔비디아 제공) (서울=뉴스1) 신은빈 박종홍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28일 경북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Summit) 2025'에 참석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엔비디아는 황 CEO가 방한 기간 글로벌 리더와 국내 기업 경영진들과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고 19일 밝혔다. APEC CEO 서밋은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APEC 21개 회원국 중 정상급 인사 16명과 글로벌 기업 CEO 약 1700명이 참가해 국내외 최대급 경제·외교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황 CEO는 서밋에 참가해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기술 혁신·성장을 가속...
기사 본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최태원 SK 회장(왼쪽부터)이 지난 8월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글로벌 리더 1700명이 경주로 총집결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는 28~31일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을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APEC 정상회의에 앞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경제포럼이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이번 서밋에는 APEC 21개 회원국 가운데 정상급 인사 16명과 글로벌 기업 CEO 1700여 명이 참석한다. 일정은 기존 2박 3일에서 3박 4일로 확대됐다. 85명의 연사가 참여해 총 20개 세션으로 19시간 이상 집중 논의를 진행한다. 주제는 ‘3B(Bridge, Business, Beyond)’로 ▶지역경제 통합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금융·투자 ▶바이오·헬스 등을 논의한다. 이번 서밋은 대한상의가 주...
기사 본문
'코리아 패싱' 우려 속 젠슨 황, 15년 만에 방한 이재용·최태원 만나 HBM 등 AI 협력 논의할 듯 메타·MS 등 연사로…'APEC CEO 서밋' 일정 연장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엔비디아, 구글, 메타 등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름잡는 빅테크 수장들이 모두 경북 경주로 총집결한다. 오는 28일 열리는 ‘2025 APEC CEO 서밋’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특히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는 공식적으로 15년 만에 한국을 찾아 연설을 진행한다. 황 CEO는 이번 방한 기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만나 AI 사업을 논의할 전망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사진=엔비디아) 젠슨 황 15년만 방한…이재용·최태원과 회동 대한상공회의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경제포럼 ‘2025 APEC CEO 서밋’을 오는 28~31일 경주에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CEO 서밋 의장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다. 올해 행사는 ‘브릿지, 비즈니스...
기사 본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지난8월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리셉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대화하고 있다. 세계 인공지능(AI) 혁신을 주도하는 'AI 황제'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무대에 오른다. 엔비디아는 황 CEO가 오는 28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 2025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고 19일 밝혔다. 황 CEO는 이번 방한에서 AI와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기술 혁신과 성장을 가속하기 위한 엔비디아의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방한은 한국 주요 기업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AI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면서 반도체 호황기 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 한국이 첨단 산업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과시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