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전략 광물 ‘갈륨’ 공장 세운다… 2028년부터 年15.5t 생산

2025년 10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0-19 15:36:0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2개

조선비즈 2025-10-19 13:26:16 oid: 366, aid: 0001115611
기사 본문

고려아연이 중국 수출 통제 품목인 갈륨 생산에 나선다. 갈륨은 반도체 핵심 원료로, 중국이 글로벌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 이번 투자 결정으로 국내 자원 안보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2년여간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 후 본격 상업 가동을 시작, 연간 약 15.5톤(t)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고려아연은 이를 통해 연 110억원 규모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는 “최근 사내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고도화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전경./고려아연 제공 갈륨은 반도체를 비롯해 태양광 패널, 레이저, 야간 고글, 발광다이오드(LED), 고속집적회로...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9 14:53:48 oid: 003, aid: 0013543469
기사 본문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 구축 2027년 12월까지 총 557억원 투자 연 15.5톤 생산해 110억 이익 창출 부산물로 연 16톤 이상 인듐 확보도 중국 장악 갈륨 공급망 안정화 기여 [서울=뉴시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온산제련소 내 게르마늄 설비 신설 현장을 점검하는 모습. (사진=고려아연) 2025.10.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창훈 기자 = 고려아연이 국내서 전략 광물 게르마늄의 생산 공장 구축에 나선 데 이어 중국의 수출 규제 1호 품목인 갈륨 공급을 위한 공장을 신설한다. 중국이 전 세계 갈륨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고려아연의 이번 공장 신설은 한국의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고려아연은 올해 10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최신 갈륨 회수 기술에 대한 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10:45:01 oid: 001, aid: 0015686339
기사 본문

온산제련소에 557억원 투자해 갈륨 회수공정 신설…"전략적 투자" '전세계 생산 98.7%' 中 수출통제로 수급 '비상'…"공급망 안정 기대" 질화갈륨 기반 반도체 소자 측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전략 광물 공급망 안정이 중요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고려아연이 반도체 핵심 원료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에 이어 갈륨 공장 신설에도 나선다. 글로벌 갈륨 시장을 중국이 완전히 장악한 상황에서 고려아연의 이번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는 연속 행보로 주목된다.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2년여간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온산 갈륨 공장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 후 본격적인 상업 가동에 들어가고, 연간 약 15.5t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한 기대 수익은 연 1...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19 12:56:15 oid: 016, aid: 0002543906
기사 본문

2027년까지 약 556억원 투자, 갈륨 회수 공정 신설 2028년부터 연간 15.5톤 생산 갈륨,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 98.7% 차지 안티모니·게르마늄 이어 세 번째 전략광물 생산체계 구축 “국내 넘어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 자리매김” 최윤범(가운데) 고려아연 회장이 온산제련소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수출하는 전략광물 안티모니를 살펴보고 있다. [고려아연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고려아연이 국내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앞장서기 위해 전략광물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 구축에 이어 이번엔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 회수 공장 신설에 나선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오는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최신화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19 16:00:38 oid: 029, aid: 0002987895
기사 본문

최윤범(가운데) 고려아연 회장이 최근 울산 온산제련소를 방문해 게르마늄 설비 신설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고려아연 제공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로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고려아연이 또 전략광물 공급망을 해소할 해결사로 나섰다. 게르마늄과 함께 중국의 희토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 공급을 위한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회사는 이번 공장 건설로 국내 자원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고려아연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측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 규모의 갈륨을 생산해 약 110억원의 이익(갈륨 가격 1㎏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세계 갈륨 생산량은 연간 약 762톤으로, 이 중 98.7%(작년 기준)가 중국에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대미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등...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19 12:13:09 oid: 119, aid: 0003014061
기사 본문

中 수출규제 안티모니·게르마늄 이어 갈륨 생산체계 구축 “대한민국 유일 공급망 넘어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가운데)이 온산제련소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수출하는 전략광물 안티모니를 살펴보고 있다.ⓒ고려아연 [데일리안 = 백서원 기자] 고려아연이 전략광물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 구축에 이어 이번엔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을 공급하기 위한 공장 신설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할 계획이다.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최신화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t)의 갈륨을 생산해 약 110억원의 이익(갈륨 가격 1kg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갈륨은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9 12:41:00 oid: 008, aid: 0005264854
기사 본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온산제련소 내 게르마늄 설비 신설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고려아연 고려아연이 전략광물인 게르마늄 생산시설 구축에 이어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을 공급하기 위한 공장 신설에 나선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갈륨 회수 기술의 고도화 및 상용화,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도 절감할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설하는 공장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상업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며, 연간 약 15.5톤의 갈륨을 생산한다. 갈륨 가격이 1kg당 920달러일 경우 연간 약 110억원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갈륨 가격은 중국의 수출규제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갈륨은 반도체, 발광다이오드(LED), 고속 집적회로 등 첨...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0-18 11:00:07 oid: 243, aid: 0000086547
기사 본문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 영면 50년간 한국 제련 산업 기틀 닦아 가르침 아래 성장 이어가는 고려아연 고려아연 본사에서 진행된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 영결식. [사진 고려아연]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비철금속 업계의 거목'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이 지난 10월 6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최 명예회장은 고려아연을 세계 1위 비철금속 기업으로 성장시킨 인물이다. 고인은 1941년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났다. 1974년 고려아연 창립 멤버로 참여한 뒤 50년간 한국 제련 산업의 기틀을 닦았다. 당시 한국은 광산도, 기술도, 자본도 없는 자원 빈국이었다. 그러나 그는 “도전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다”는 신념 하나로 정부·금융권·국제기구를 설득하며 회사를 세웠다. 세계은행 산하 국제금융공사(IFC)로부터 1300만달러(약 185억원)의 자금을 유치해 제련소 건설에 착수했으며, ‘턴키 방식’을 거부하고 직접 구매와 시공을 맡아 7000만달러(약 996억원)로 예상된 공사...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19 11:53:32 oid: 421, aid: 0008547151
기사 본문

557억 투자…年 15.5톤 생산, 110억 이익 전망 中 70% 생산 인듐 16톤 추가 확보도 기대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의 안티모니 자료사진(고려아연 제공)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고려아연(010130)이 전략광물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 구축에 이어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을 공급하기 위한 생산시설 신설에 나선다. 전 세계 갈륨 시장은 중국이 장악하고 있어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취지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 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최신화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의 갈륨을 생산해 약 110억 원의 이익(갈륨 가격 1kg당 920달러 ...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9 11:43:09 oid: 018, aid: 0006141569
기사 본문

557억 투자해 갈륨 회수 공정 신설 반도체·LED 등 첨단산업 필수 소재 中 독점 맞서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고려아연이 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을 공급하기 위한 공장 신설에 나선다. 이번 고려아연의 전략적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고려아연은 올해 10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t)의 갈륨을 생산, 약 110억원의 이익(갈륨 가격 1kg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갈륨은 반도체와 LED(발광다이오드), 고속 집적회로 등 주요 첨단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핵심 전략광물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자원안보특별법에서 정한 핵심광물 33종의 하나로 갈륨을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에너지법에 따...

전체 기사 읽기

블로터 2025-10-19 13:13:09 oid: 293, aid: 0000073728
기사 본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가운데)이 온산제련소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수출하는 전략광물 안티모니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제공=고려아연 고려아연이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전략광물 '갈륨(Ga)' 생산체계를 새로 구축한다. 중국의 수출규제 품목인 안티모니·게르마늄에 이어 세 번째 전략금속 라인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유일의 공급망을 넘어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의 전환을 가속한다는 구상이다. 고려아연은 올해 10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 내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이 자체 개발한 '최신화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최적화에 성공하면서 투자비 절감과 동시에 수익성 확보가 가능할 전망이다. 고려아연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 완료 후 연간 15.5톤의 갈륨을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갈륨 시세(kg당 약 920달러)를 기준으로 연간 110억원 규모의 이익이 기대된다. 갈륨은 반도체, LED, 고속 집적회로 등 첨단...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9 14:24:19 oid: 011, aid: 0004544964
기사 본문

온산에 557억원 투자해 갈륨 회수 공정 신설 연간 15.5톤 생산 목표···연 110억 수익 전망 갈륨, 中이 전 세계 생산량 98.7% 차지해 인듐 등도 확보···"기술 자립도 강화할 것" 최윤범(가운데) 고려아연 회장이 온산제련소 내 게르마늄 설비 신설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제공=고려아연 [서울경제] 미중 무역전쟁 심화 국면에서 전략 광물 공급망 안정화가 각국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고려아연(010130) 이 반도체 핵심 원료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에 이어 갈륨 공장 신설에도 나선다. 고려아연은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 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온산 갈륨 공장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거쳐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대 수익은 연 110억 원 규모다. 갈륨은 반도체와 발광다이오드(LED), 고속 집적회로 등 주요 첨단산업에서 필수 원료로 쓰인다. 이에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