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청년고용률…"16년 만에 이렇게 긴 기간 하락"

2025년 10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3개
수집 시간: 2025-10-19 15:06: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노컷뉴스 2025-10-19 09:10:11 oid: 079, aid: 0004076512
기사 본문

2025년 9월 고용동향 및 평가. 기획재정부 제공 15~29세 청년층의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장기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 달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7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당시 청년층 고용률은 2005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51개월간 하락했다. 최근 청년 고용 부진의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꼽힌다. 견조한 일자리로 분류되는 ·건설업 부진으로 취업문이 좁아지고, 청년의 구직 의욕도 떨어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8월 제조업 취업자는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 등 여파로 6만1천명 줄며 15개월 연속 내리막을 기록했다. 건설업 취업자도 8만4천명 감소했다. 작년부터 계속된 건설업 불황으로 17개월째 마이너스다. 지난달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취업자 수가 30만명 넘게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9 14:29:13 oid: 011, aid: 0004544969
기사 본문

제조업 부진·경력직 채용 확대 청년 고용 부진, 구조적 요인 청년층의 지방 취업 기피·노동시장 인식도 영향 17일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 채용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우리 경제의 미래 노동 공급 축인 청년층(15~29세) 고용 시장이 장기 침체 국면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거기에다 고용률 하락이 외부 충격이 아닌 우리 사회의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측면이 커서 청년 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떨어졌다. 2023년 5월 이후 17개월 연속 내림세로 2005년 9월~2009년 11월(51개월) 하락 이후 약 16년 만의 최장 기간 감소다. 고용률은 취업자 증감과 달리 인구 감소 영향을 덜 받는 지표이기 때문에 현재 청년층의 실질 고용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청년층 고용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제조업과 건설업과 같...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9 13:32:09 oid: 022, aid: 0004075993
기사 본문

청년 고용률이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약 16년 간 최장기간 감소세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면서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청년고용률이 1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 청년이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닥없는 청년층 고용률 하락 19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수)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하락했다. 전년 동월대비 17개월 연속 하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51개월)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현재 한국 고용시장은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양상이다. 그나마 한국 경제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05:47:14 oid: 001, aid: 0015686069
기사 본문

전체 고용률은 사상 최고…청년은 16년 만에 최장 하락 저성장·경력직 선호…일자리 찾다 지친 청년들 '쉬었음' 이탈 캄보디아에서 인천공항으로 송환된 한국인 구금자 (영종도=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날 송환에는 경찰 호송조 190여명이 투입됐다. 2025.10.18 [공동취재] ksm7976@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청년 고용률이 약 16년 만에 최장기간 감소세를 이어가며 바닥없는 하향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다.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하면서 청년 일자리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해법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해 청년 장기백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 일부 청년이 고수익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났다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이런 구조적인 난맥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