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핵심 인재 유치한다...코트라 글로벌인재 유치 사절단 싱가포르 방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삼성·LG엔솔 등 16개사, 현지 인재 600여명과 1:1 채용 상담 특별 비자 '케이테크패스' 내세워…런던·뉴욕으로 인재 유치 확대 지난 16~17일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에서 구본경 코트라 동남아대양주 지역본부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코트라 제공 [파이낸셜뉴스] 우리 기업들이 싱가포르에서 글로벌 첨단인재 확보에 나섰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혁신기업 16개사로 구성된 인재유치 사절단을 싱가포르에 파견, 지난 16~17일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싱가포르' 행사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트라 해외인재유치센터 개소 후 첫 해외 파견 인재 유치 사절단 행사로, 첨단산업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사절단에는 삼성전자 DS부문, LG에너지솔루션, 한화오션 등 대기업과 퓨리오사AI, 니어브레인 등 AI 혁신 스타트업 등...
기사 본문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개최 AI·반도체·이차전지 기업 16개사 참여해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국내 기업들이 싱가포르 현지에서 글로벌 첨단인재 확보에 나섰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는 국내 혁신기업 16개사로 구성된 인재유치 사절단을 싱가포르에 파견해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싱가포르’ 행사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트라 해외인재유치센터 개소 후 첫 해외 파견 인재 유치 사절단 행사로, 첨단산업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첨단인재 허브로 평가받는 국가다. 일례로 싱가포르 정부는 ‘국가 AI 전략 2.0(National AI Strategy 2.0)’을 추진 중이다. 2030년까지 AI 전문인력 1만5000명 양성 목표를 제시했다. 이의 일환으로 싱가포르 난양공대(NTU)·국립대(NUS) 등 명문...
기사 본문
국내 16개사, 현지 인재 600여명과 매칭 코트라는 글로벌 첨단인재 확보를 위해 지난 16~17일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를 개최했다. 구본경 코트라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이 환영사를 하는 모습. <코트라> 국내 기업들이 싱가포르에서 글로벌 첨단인재 확보에 나섰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국내 혁신기업 16개사로 구성된 인재유치 사절단을 싱가포르에 파견해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싱가포르’ 행사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트라 해외인재유치센터를 개소한 뒤 처음으로 진행한 해외 파견 인재 유치 사절단 행사다. 첨단산업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첨단인재 허브로 평가받는 국가다. 싱가포르 정부는 ‘국가 AI(인공지능) 전략 2.0’을 추진하면서 2030년까지 AI 전문인력 1만5000명을...
기사 본문
국내 16개사, 현지 인재 600여명과 매칭 해외인재센터 출범 후 첫 해외현장 사절단 런던·뉴욕·실리콘밸리로 인재 유치 확대 KOTRA가 16~17일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개최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2025’ 현장. 사진 제공=KOTRA [서울경제] 국내 기업들이 싱가포르에서 글로벌 첨단인재 확보에 나섰다. KOTRA는 16~17일 국내 혁신기업 16개사로 구성된 인재유치 사절단을 싱가포르에 파견해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에서 ‘글로벌 인더스트리 커리어 커넥트 2025’ 행사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KOTRA 해외인재유치센터 개소 후 첫 해외 파견 인재 유치 사절단 행사로, 첨단산업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싱가포르는 아시아 대표 첨단인재 허브로 평가받는 국가다. 일례로 싱가포르 정부는 ‘국가 AI 전략 2.0’을 추진 중으로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전문인력 1만 5000명 양성을 목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