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강세장 속 단기 조정…'한미 협상·셧다운' 변동성 변수 [주간 증시 전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종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코스피가 3700선을 돌파하며 연중 최고치를 새로 썼지만, 미·중 무역 갈등과 미국 셧다운 우려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증권가는 다음주 코스피 예상 범위를 3550~3850p로 제시하며, 한·미 관세협상 진전과 상법 개정 기대가 지수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연휴 이후 차익 실현 부담이 커 단기 변동성 확대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는 전주 대비 3.83% 오른 3748.89로 마감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는 3800선에 육박했다. 개인은 8950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101억원 856억원어치를 사들였다. NH투자증권 이상준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발표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화 발언으로 일시 진정됐지만, 양국 간 긴장은 여...
기사 본문
깜짝 실적 삼성전자, 코스피 최고치 견인 한미 협상 기대감에 자동차주도 우상향 협상 진전·한국은행 금통위로 환율 안정될까 美CPI·中4중전회 따른 경계심리 주목 지난 17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52포인트(0.01%) 오른 3748.89에 장을 마쳤다.ⓒ데일리안 [데일리안 = 강현태 기자] 이번주 국내 증시는 한미 무역협상 최종 타결 가능성과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압박이 공존하는 가운데 환율 흐름, 중국 4중전회, 미국 경제지표 등 대내외 변수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증권업계는 이번주 코스피 지수 밴드로 3550~3850선을 제시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52포인트(0.01%) 오른 3748.89에 장을 마쳤다. 지난주(10월 13~17일) 코스피 지수는 3522.54~3794.87포인트 사이에서 움직였다.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영향으로 반도체주에 투자심리가 몰리며 ...
기사 본문
단기 급등에 차익실현 압력 ↑…조정 우려 커져 美 CPI 시작으로 잇따른 경제지수 발표에 주목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748.37)보다 0.52포인트(0.01%) 오른 3748.89에 장을 마친 지난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종가가 보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65.41)보다 5.87포인트(0.68%) 하락한 859.54에 거래를 마감,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21.3원) 대비 3.3원 오른 1421.2원에 장을 마감했다. 2025.10.17.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사상 최고치 랠리를 펼치며 3800을 목전에 둔 우리 증시는 이번 주 기로에 설 전망이다. 관세 협상 타결과 상법 개정 등 이슈에 대한 기대감이 선반영되며 상승장이 펼쳐졌지만, 단기 급등으로 차익 실현 압력은 커진 상황이다. 특히 이번 주 발표되는 미국의 9월 고용 지표 등으로 시장은 변동...
기사 본문
3700선 돌파하며 차익실현 압력 커져 단기 조정에도 상승 흐름은 지속 전망 한미 무역협상 타결로 불확실성 완화 기대 3분기 실적도 양호…“지수 하락 제한적”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코스피 지수가 3700선을 돌파하면서 역사적 고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 급등으로 인한 차익실현 압력이 커졌지만 구조적 강세장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상법·세법 개정 등이 상승 재료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17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9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는 사상 처음으로 3700선을 넘어섰다. 지난 13일 3610.60으로 출발한 지수는 17일 3748.89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로 거래를 마쳤다. 한 주간 상승률은 코스피가 3.83%, 코스닥은 0.01%로 각각 집계됐다. 이번주(20~24일)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상법·세법 개정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