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당국, EU 철강수입규제 ‘韓 기존 물량 배정’ 요청 채널 다각화

2025년 10월 1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3개
수집 시간: 2025-10-14 19:43:5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14 17:06:13 oid: 016, aid: 0002541707
기사 본문

박종원 통상차관보, 벨기에서 EU집행위 면담서 철강쿼터 배정 필요성 설명 여한구 본부장, EU ‘철강관세‘ 발표후 집행위원 만나 “FTA 채결국, 기존 물량” 요청 박종원 산업통상부 통상차관보[연합] [헤럴드경제=베문숙 기자]통상당국이 유럽연합(EU)의 신규 철강 수입 규제로 우리 기업들의 피해가 없도록 EU와 소통채널을 다각화하고 있다. 산업통상부는 박종원 통상차관보가 14∼15일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관계자들과 만나 최근 EU 집행위가 제안한 신규 철강 수입 규제안 등 통상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차관보는 이번 방문에서 EU 집행위원장 경제자문관을 비롯한 EU 집행위 통상총국·성장총국·경쟁총국 부총국장 등을 만날 예정이다. 박 차관보는 EU와 철강 과잉 공급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면서 EU 집행위의 새로운 철강 수입 규제 도입이 오히려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을 확대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할 계획이다. 동시에 한국은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 EU...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4 16:37:31 oid: 001, aid: 0015677435
기사 본문

집행위 관계자들 만나 한국에 최대한 철강쿼터 배정 필요성 설명 박종원 산업통상부 통상차관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산업통상부는 박종원 통상차관보가 14∼15일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관계자들과 만나 최근 EU 집행위가 제안한 신규 철강 수입 규제안 등 통상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차관보는 이번 방문에서 EU 집행위원장 경제자문관을 비롯한 EU 집행위 통상총국·성장총국·경쟁총국 부총국장 등을 만날 예정이다. 박 차관보는 EU와 철강 과잉 공급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면서 EU 집행위의 새로운 철강 수입 규제 도입이 오히려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을 확대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할 계획이다. 동시에 한국은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 EU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이자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 상황을 함께 해결해나갈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따라서 EU의 이번 조치가 한·EU 간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 질...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14 16:39:40 oid: 421, aid: 0008537536
기사 본문

박종원 통상차관보 14~15일 EU 경제·통상 관계자 접촉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로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8회 한국-중국(산둥) 경제통상협력 교류회'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8.1/뉴스1 ⓒ News1 이연주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산업통상부는 박종원 통상차관보가 14~1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해 유럽연합(EU) 관계자들과 최근 발표된 '신규 철강 수입 규제(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신규 철강 규제안은 연간 철강 쿼터 총량을 기존 세이프 가드 제도의 2024년 쿼터 대비 47% 축소한 1830만 톤으로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시에 쿼터 외 물량에 적용되는 관세율도 기존 25%에서 50%로 상향될 예정이다. 현재 규제안은 EU집행위에서 제안된 상태로, EU의 입법절차를 거친 이후 시행될 예정이다. 박 차관보는 EU집행위원장...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4 05:01:17 oid: 018, aid: 0006137362
기사 본문

이달 말 관계부처 합동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예고 “석화처럼 일괄 감산 NO…지원책 최종 가다듬는중” 전문가 “정책적 지원 뒷받침되는 구조조정이 현실적”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미국에 이어 유럽마저 수입 장벽을 높이기로 하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정부가 이달 중 공개할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에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을 토대로 철강 산업의 구조 조정 등 체질 개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 사진=연합뉴스 1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말 관계 부처 합동으로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이 잇달아 철강 수입 규제를 강화하면서 한국 철강산업의 수출길이 좁아지자 정부가 대응체계 강화에 발 벗고 나선 것이다. 앞서 EU는 지난 7일(현지시간) 기존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를 대체할 새로운 철강 수입 쿼터(TRQ·관세할당)안을 발표했다. 무관세로 수입할 수...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