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달 크라운해태 회장 “과자는 꿈과 행복, 국악은 고객에 전하는 보은”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크라운해태, 제20회 창신제 개최 “국악으로 진정한 행복 나눠드려” 10월 17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 기자간담회에서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이야기를 하고있다. [크라운해태제과 제공]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때 고객들이 많이 도와줘서 회생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보은으로 국악 공연을 시작했습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20회 창신제’에 대해 “제과 업계에서도 차별화된 아이템”이라고 말했다. 크라운해태제과는 2004년부터 22년째 창신제를 이어오고 있다. 코로나19 등으로 열지 않은 두 해를 제외하고 해마다 국립국악원, 서울시청광장, 세종문화회관 등에서 공연을 열었다. 올해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했다. 크라운해태제과가 그동안 창신제에 후원한 금액은 1000억원이 넘는다. 누적 관객 수는 20만명 이상이다. 모든 공연은 전석 ...
기사 본문
2004년 시작, '창신제' 20주년 공연 누적 후원 1000억 원·공연 2071회 250만 명 관객, 7만 명 무대 참여 "예술을 배워야 기업이 산다" 윤영달의 법고창신 "K팝의 무대에서 뛰는 리듬, 그 뿌리는 국악입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은 17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창신제 20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윤영달 회장은 "서양 무용은 본래 뛰지 않는다"며 "가수 싸이가 무대에서 처음 뛰었을 때, 그건 한국 춤의 굴신(屈伸)을 쓴 것이고, K팝의 생동감은 우리 장단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세계가 열광하는 K팝의 심장부에 국악의 리듬과 호흡이 자리한다는 설명이다.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케이팝 데몬 헌터스' 오프닝에서 전통 타악의 질감이 전면에 등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1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설가온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創新祭) 기자간담회에서 크라운해태제과 윤영달 회장이 이야기를 하고있다. 크라운해태제과 제공. IMF 부도 뒤 '대금'에서...
기사 본문
‘제20회 창신제’ 개최, 크라운해태 ‘뚝심’ 지원 윤영달 회장 “IMF시절 만난 국악, 예술로 차별성” 후원금 총액만 1000억 넘어, 임직원도 적극 참여 “국악으로 행복 전파” 강조, 영업에도 긍정 효과 올해 주제는 ‘수제천’, “근본 궁중음악 더 알릴 것"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이 산~저 산~ 꽃이 피네.” 1945년생의 한 노인이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창을 시작했다. 80살이라는 고령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힘이 담긴 목소리였다. 이 사람은 지난 22년간 국악에 온몸을 내던진 윤영달 크래운해태그룹 회장이다. 민간기업으론 이례적으로 20년 이상 국악에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윤 회장이 직접 주최한 국악공연 ‘창신제’도 올해 20회차를 맞는다. “국악으로 고객과 함께 숨 쉬고, 국악으로 진정한 행복을 나눠주고 싶다”는 윤 회장의 평소 철학이 담긴 ‘국악 사랑’이다. 1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설가온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創新祭) 기자간담회에서 크라운해태제과 윤영달...
기사 본문
20회 맞은 창신제…"국악 영재 키우고, 고객의 일상 속에 국악 심겠다" 크라운해태의 20년 문화투자, 국악 후원 누적 규모 1000억 돌파 10월 17일(금)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설가온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創新祭) 기자간담회에서 크라운해태제과 윤영달 회장이 이야기를 하고있다.(크라운해태제과 제공) (서울=뉴스1) 배지윤 기자 서양 사람들은 무대에서 잘 안 뜁니다. 싸이가 무대에서 처음 뛰기 시작했는데, 그게 원래 국악 무용의 '굴신'(굽히고 펴는 동작)에서 비롯된 거예요. 저는 국악이 은은하게 K팝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봅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지난 17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창신제'(創新祭) 20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단순한 문화 후원자를 넘어 한국 전통예술의 뿌리를 기업인의 시선으로 되새겨온 그의 자부심이 묻어났다. 윤 회장과 국악의 인연은 IMF 외환위기 직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도를 겪고 정장 차림으로 산에 앉아 있던 그는 우연히 들...
기사 본문
17일부터 사흘간 세종문화회관서 제20회 '창신제' 열어 크라운해태제과가 지난 17일부터 사흘간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국악 공연인 제20회 ‘창신제’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 [사진=크라운해태제과] 창신제로 시작한 크라운해태제과의 국악사랑은 명인·명창을 지원하고, 청년 국악인을 위한 국악관현악단과 연희단을 운영하며, 미래 국악의 주인공인 영재들을 발굴해 육성하고 있다. 지난 22년간 국악의 발전을 위한 크라운해태제과의 후원금 총액은 1000억원이 넘는다. 전통음악의 발전을 위한 크라운해태제과의 20년이 넘는 한결같은 지원은 창신제로 시작됐다. 크라운제과는 IMF 위기를 극복하고 6년만에 정상화되기까지 회사를 믿고 사랑해준 고객들께 국악으로 감사함을 전하기 위해 2004년 국립국악원에서 첫 공연을 개최했다. 20회를 맞은 올 창신제의 주제는 1500년전 백제가요 '정읍사'에서 시작해 궁중음악으로 발전하며 전통음악의 백미로 ...
기사 본문
전통음악공연 ‘창신제’ 개최 국악 대중화 위해 22년째 지원 "다양한 춤사위 등 K팝에 영향"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지난 17일 국악 공연 '창신제' 20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크라운해태제과 제공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팝의 근간은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국악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인근에서 국악 공연 '창신제' 20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 국악은 무대에서 다양한 춤사위가 많은데, 이런 점들이 현재의 K팝 문화에 은근히 영향을 줬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과거 서양의 음악 무대를 보면 뛰는 행위 등의 모습은 별로 없었다고 한다"며 "일례로 가수 싸이가 국내외 무대에서 뛰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는데, 바로 국악의 무대 기조를 계승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부연했다. 윤 회장은 민간기업 주최로 국내 최대 규모의 전통음악 공연인 '창신제'를 매년 개...
기사 본문
2004년 시작된 진심담은 국악 후원의 시작과 미래 제20회 창신제 ⓒ크라운해태제과 [데일리안 = 최승근 기자] 전통음악의 원형을 보존하고 미래 발전을 위한 크라운해태제과의 국악 사랑이 22년째 이어지고 있다. 문화예술 후원을 넘어 국악으로 고객의 행복을 함께 만들며 기업의 핵심적인 경영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다. 크라운해태제과가 2004년 시작한 민간기업 주최 국악공연 중 국내 최대규모인 ‘창신제’가 올해로 스무번째 공연을 맞았다. 지난 10월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제20회 창신제 공연이 열렸다. IMF 위기로 인해 어렵고 힘들었던 시기에 끝까지 믿고 응원해 준 고객들께 감사 인사를 전하기 위한 사은공연으로 시작한지 22년 만이다. 창신제로 시작한 크라운해태제과의 국악사랑은 명인·명창을 지원하고, 청년 국악인을 위한 국악관현악단과 연희단을 운영하며, 미래 국악의 주인공인 영재들을 발굴해 육성하고 있다. 지난 22년간 국악의 발전을 위한 크라운해태제과의...
기사 본문
크라운해태의 22년 국악 경영 'IMF 부도' 때 빠져든 대금 소리 '창신제', 전통음악 후원 결실로 "예술 경영으로 브랜드 가치 제고" “국악을 통해 쓰러진 회사를 일으켜 세울 용기를 얻었어요. 크라운해태를 성장시킨 동력도 결국은 국악이죠.” 국내 기업이 주최하는 국악 공연 가운데 최대 규모 행사인 ‘창신제(創新祭)’를 20년 넘게 열어온 크라운해태제과의 윤영달 회장(사진)은 지난 17일 기자들과 만나 국악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윤 회장이 국악을 처음 접한 때는 1998년이다. “크라운제과가 부도났을 때 무작정 산을 올랐어요. 등산복도 마땅히 없고 해서 양복을 입고 산길을 걷는데 처음 듣는 음악 소리가 났어요. 대금이었어요. 그 길로 대금 선생님을 찾았고 단소에까지 빠지게 됐죠.” 국악에 눈을 뜬 윤 회장은 우리 고유의 음악을 경영 전면에 배치했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 전통음악에 후원한 금액은 1000억원에 이른다. 2004년 창신제를 처음 열면서 ‘국악 경영’이 시...
기사 본문
크라운해태제과, 국악으로 고객과 함께 행복 만든 22년 전통음악의 정수 '수제천' 선보인 스무번째 창신제 (創新祭) 공연 국내 최고 명인명창과 과자회사 임직원들이 펼친 전통음악의 향연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사진=크라운해태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우리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이 K팝의 근간이라고 생각한다"며 "크라운해태의 성장 뿌리도 국악에 있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인근 식당에서 '제20회 창신제' 개최를 기념해 마련한 기자간담회에서 "전통음악의 발전을 위한 크라운해태제과의 20년 넘는 한결같은 지원은 창신제로 시작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창신제는 민간기업 주최 국악공연 중 국내 최대규모 행사로, 크라운해태가 지난 2004년부터 주최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지난 17일 부터 19일까지 3일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렸다. 윤 회장은 "창신제의 특별함은 '옛 것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조한다'는 법고창신이 주제라는 점이다"며 "단순한 전...
기사 본문
20살 창신제 개최 기념 간담회…"K컬처 기여 확장해야" "온 국민 국악 일상화가 꿈"…동종 업계에 '동참' 호소 내년 전국 30곳서 직원 공연…'한음' 용어 적극 알린다 [서울=뉴시스] 윤영달 크라운해태 제과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가진 '제20회 창신제' 개최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회사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국악(사업)은 필수적으로 해야 하고 더 확장해야 합니다." 윤영달(80) 크라운해태 제과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가진 '제20회 창신제' 개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AQ(Artistic Quotient·예술가적 지수) 경영'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이같이 밝혔다. AQ 경영은 예술적 감성을 기업 경영에 접목하는 경영 전략으로, 크라운해태 제과가 창신제를 처음 연 2004년에 도입한 개념이다. 윤 회장이 AQ 경영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1997년 IMF ...
기사 본문
20회 맞은 국내 대표 국악공연 '창신제' "국악 통해 고객에 행복 전파하고파"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제20회 창신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국악에 대해 이야기하며 웃어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크라운해태 [서울경제] “크라운제과가 1997년 IMF 외환 위기 당시 굉장히 어려운 위기를 겪었고 2003년 화의를 벗어났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고객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창신제는 IMF 당시 받은 고객들의 도움에 보은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은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가진 제20회 창신제 기자간담회에서 “힘든 시절 국악 소리에 큰 감동과 위로를 받은 것처럼 국악을 통해 고객과 함께 숨 쉬고 국악으로 진정한 행복을 나눠드리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창신제는 크라운해태제과가 2004년부터 개최한 국악 공연이다. 민간기업이 주최하는 국악 공연 중 국내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윤 회장은 IMF 외환 위기로 인해 어렵고 힘들었던 시기에...
기사 본문
기업 주최 최대 국악 공연 '창신제' 올해 스무번째 맞아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 [크라운해태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1998년) 크라운제과가 부도났을 때 등산했습니다. 산에 올라가서 앉아있다가 내려오는데 처음 듣는 음악 소리가 들렸는데 대금이었어요. 내려오자마자 대금 선생을 찾아가서 대금을 배웠습니다. 그러다 단소로 빠졌죠." 국내 민간 기업 주최 국악 공연 중 최대 규모인 '창신제'를 20년 넘게 열어온 크라운해태제과의 윤영달 회장은 지난 1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이 국악에 관심을 가진 계기를 이렇게 설명했다. 크라운해태의 '창신제'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어려웠던 시기에 응원해준 고객에게 감사를 전하기 위해 크라운제과가 해태제과를 인수하기 한 해 전인 지난 2004년 시작됐다. 올해 스무번째를 맞았다. 지난 17일 시작된 이번 공연은 19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올해 창신제는 지난해와 같이 백제 노래 '정읍사'(井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