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기지국 '4개→20개' 늘어난 KT…수도권 이어 강원까지 뚫렸다

2025년 10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0-19 07:49:4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MBN 2025-10-17 20:04:13 oid: 057, aid: 0001913784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태 이후 진행한 전수조사에서 추가 피해와 불법 기지국이 새로 드러났습니다. 피해 지역이 수도권을 넘어 강원도까지 늘어난 가운데, KT 해킹 사태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유승오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태 이후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 10일까지 결제 내역과 기지국 접속 기록을 전수 조사한 결과를 내놨습니다. 애초 3개월치 자동응답, ARS 결제만 조사하다가 비판이 일자 조사 범위와 기간을 늘린겁니다. ▶ 인터뷰 : 서창석 / KT 네트워크부문장 - "소액 결제를 포함한 KT 통신과금 대행 결제 전체를 저희가 확대했습니다. 또한 ARS 인증 방식에서 SMS(문자메시지), PASS까지 모든 인증 방식을 다 확인했고요." 조사 결과, 피해건수와 피해고객은 각각 777건과 368명으로, 피해 금액은 2억 4319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 펨토셀은 총 20개로 늘었고 접속 지역도 수도권에 이...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18 01:43:04 oid: 020, aid: 0003668048
기사 본문

4개라던 불법 기지국 16개 추가 소액결제 피해 6명 늘어 총 368명 피해지역 서울-경기에 강원 확대 17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열린 무단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관련 브리핑에서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이 피해 고객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뉴시스 KT 통신망에 접속해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야기한 불법 팸토셀(소형 기지국) ID 16개가 추가적으로 발견되며 피해 규모가 더 커졌다. 불법 팸토셀이 1년 전인 지난해 10월부터 이용자의 휴대전화에 무단 접속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17일 KT는 서울 종로구 KT 사옥에서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 사건 관련 브리핑을 열고 불법 팸토셀 ID 16개를 추가적으로 확인해 총 20개의 불법 팸토셀 ID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추가적으로 확인된 불법 팸토셀 ID는 지난해 10월부터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 팸토셀 ID 접속 이력이 있는 이용자 수는 2200여 명이 늘어 총 2만...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18 06:41:38 oid: 055, aid: 0001300721
기사 본문

<앵커> KT가 무단 결제 피해와 관련해 전수 조사를 한 결과, 기존 4개였던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가 16개나 더 있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가입자들이 이 불법기지국에 접속됐는데도, KT는 결제가 발생할 때까지 이 사실을 몰랐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김관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KT가 지난해 8월부터 올 9월까지 이뤄진 결제 내역 1억 5천만 건과, 휴대전화와 기지국 간 접속 기록 4조 400억 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16개를 추가로 확인했습니다. 기존 4개에서 20개로 증가한 겁니다. 또, 지난해 10월부터 이 불법 기지국에 가입자들이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때부터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서창석/KT 네트워크 부문장 : 저희가 최초 발생 시기가 저희가 (조사 기간이) 3개월일 때는 6월 26일이었는데 올해. 저희가 (전수 조사에서) 24년 10월로 확인됐습니다.] 20개 불법 기지국에 접속 이력이 확인...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0-17 22:51:32 oid: 052, aid: 0002260925
기사 본문

[앵커] 최근 논란이 된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해 불법 기지국 16개가 추가로 발견되며 피해 규모도 늘었습니다. 특히 KT 고객들의 개인정보 유출이 처음 일어난 시점이 무려 1년 전인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KT가 지난해 8월부터 1년여 동안 이뤄진 통신 과금 결제 1억 5천만 건의 전수 분석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 결과 기존 4개로 파악됐던 불법 기지국이 16개나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서 창 석 /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 : (불법 팸토셀 아이디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증가한 20개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소액 결제 피해 고객은 6명이 증가한 368명으로 확인됐고요.] 전체 무단 결제 777건 가운데 문자 인증방식을 통한 소액 무단 결제도 63건이나 새롭게 드러났습니다. 피해 액수 역시 3백만 원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불법 기지국을 활용한 최초 개인정보 유출 시기가 지난해 10월로 크게 앞당겨졌다는 점입니다.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