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일레븐, 1년 만에 또 희망퇴직…만40세 이상 대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원 20개월·간부 24개월분 위로금 지급 경영 효율화 일환···자녀 학자금 지원도 사진 제공=세븐일레븐 [서울경제] 세븐일레븐이 경영 효율화를 위해 1년 만에 다시 희망퇴직을 시행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은 이날 오전 사내 게시판을 통해 오는 27일까지 희망퇴직을 접수한다고 공지했다. 사원급은 만 40세 이상 또는 현 직급 8년차 이상, 간부사원은 만 45세 이상 또는 현직급 10년차 이상이 대상이다. 희망퇴직자에게는 사원급은 20개월분, 간부사원은 24개월분의 기본급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1000만 원의 취업지원금과 대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2명까지 각각 1000만 원의 학자금도 지급한다. 세븐일레븐은 지난해부터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경영 효율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1988년 법인 설립 이후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단행한 바 있다. 또 부실 점포를 정리하고 고매출 상권에 집중하면서 점포 수는 2023년 1만 3130개에서 지...
기사 본문
지난해 10월 첫 희망퇴직 시행 이후 1년만에 재차 돌입 롯데그룹 계열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2년 연속 희망퇴직을 단행한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은 이날 오전 사내 게시판에 희망퇴직을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세븐일레븐이 희망퇴직을 시행한다. 세븐일레븐 매장. [사진=세븐일레븐] 대상은 사원급은 만 40세 이상 또는 현직급 8년차 이상, 간부사원은 만 45세 이상 또는 현직급 10년차 이상이다. 희망퇴직자에게는 사원급과 간부사원으로 나눠 각각 기본급 20개월치와 24개월치를 지급한다. 공통사항으로는 취업지원금 1000만원과 대학생 자녀가 있으면 최대 2명에 한해 각각 1000만원의 학자금을 제공한다. 세븐일레븐은 1988년 법인 설립 이래 처음으로 작년 10월 희망퇴직을 시행했다. 그리고 1년 만에 또다시 인력 감출에 돌입했다. 코리아세븐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2조386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1%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427억원으로 50억원 개선됐...
기사 본문
세븐일레븐 매장 외관 전경. /사진제공=세븐일레븐 /사진=하수민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경영 효율화와 인력 구조 재편을 통한 체질 개선 차원이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은 이날 오전 사내 게시판을 통해 희망퇴직 관련 안내사항을 공지했다. 이번 희망퇴직은 직급별로 조건이 다르다. 사원급은 만 40세 이상이거나 현 직급 8년차 이상, 간부사원은 만 45세 이상 또는 현 직급 10년차 이상이 대상이다. 퇴직 위로금은 사원급은 기본급 20개월분, 간부사원은 기본급 24개월분이 지급된다. 공통적으로 취업지원금 1000만원, 대학 자녀 학자금 1000만원(최대 2명) 등이 각각 지원된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그간의 경영 효율화를 위한 고강도 노력으로 실적 개선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체질 개선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조직 건전성 개선을 포함한 경영구조 재편은 수익 중심의 안정적 사업기반 확보를 위한 주요 과제"라고 설명했다...
기사 본문
롯데그룹 계열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지난해 10월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받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은 이날 오전 사내 게시판에 희망퇴직을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대상은 사원급은 만 40세 이상 또는 현직급 8년차 이상, 간부 사원은 만 45세 이상 또는 현직급 10년차 이상이다. 신청 기간은 27일까지다. 희망 퇴직자에게는 사원급과 간부 사원으로 나눠 각각 기본급 20개월치와 24개월치를 지급한다. 또 공통적으로 취업 지원금 1,000만원을 제공한다. 대학생 자녀가 있으면 최대 2명에 한해 각각 1,000만원의 학자금도 지원한다. 세븐일레븐은 1988년 법인 설립 이래 처음으로 지난해 10월 희망퇴직을 시행했다. 또 전국 점포 수를 2023년 1만3,130개에서 지난해 1만2,152개로 978개 줄인 바 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중장기적인 사업 안정성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인력 구조 효율화 차원"이라며 "성과 중심의 조직 문화와 효율적인 사업 기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