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9월 취업자 31만명 증가 제조·건설업 고용 부진 계속 청년층 취업도 여전히 '한파' 지난달 취업자가 30만 명 넘게 늘어 1년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음식점업 등 서비스업이 고용을 견인했다. 이런 일자리 증가세가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915만4000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1만2000명 증가했다. 올 들어 취업자 증가 폭이 5월(24만 명대)을 제외하고 매달 10만 명대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증가세다. 정부는 지난 7월 말부터 집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고용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9월 도소매업 취업자는 32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8000명 불어났다. 2017년 11월(4만6000명) 후 7년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000명 증가한 233만70...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국가데이터처 '2025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으로 나타난 17일 서울 성북구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 센터에 취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30만4000명),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7만5000명), 교육서비스업(5만6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2025.10.17. 소비쿠폰이 촉발한 '내수 훈풍'이 고용시장까지 번졌다. 9월 취업자는 31만명 늘어 19개월 만에 30만명대를 기록했고 정규직·30대 중심의 질적 회복세가 뚜렷했다. 다만 청년층(만15~29세) 취업자 수는 17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는 모양새다. 소비쿠폰 정책효과가 끝난 뒤에도 고용 개선 흐름이 이어질지 여부도 관건이다. 국가데이...
기사 본문
내수 관련 고용 개선된 영향 직원 고용 자영업자도 늘어 청년 고용률 17개월째 감소 14일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 한 채소 매장 TV에 지역 상권 활성화와 소비쿠폰을 주제로 한 디지털 토크 라이브 생중계가 틀어져 있다. 뉴스1 지난달 취업자 수가 30만 명 넘게 늘어났다. 직원을 고용한 자영업자 수가 반등한 데다가 내수 관련 취업자 수도 늘어난 영향이다. 정부는 7월 말부터 지급을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1.1%) 늘어난 2,915만4,000명이었다. 이는 작년 2월(32만9,000명)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취업자가 30만 명 이상 늘어난 것도 1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고용률은 63.7%로 0.4%포인트 상승했다. 무엇보다 내수 산업 고용이 개선됐다. 도소매업은 1년 전 대비 2만8,...
기사 본문
[앵커] 지난달 취업자 수가 31만 명 넘게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와 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건설과 제조업의 고용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 2천 명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입니다. 올 들어 취업자 수는 5월 20만 명대를 빼면 매달 10만 명대 증가에 머물렀습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소비쿠폰 효과와 추석 연휴 명절 특수 등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뚜렷했습니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천 명이 늘며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고, 숙박·음식점업도 2만6천 명이 증가해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는 7만 5천 명,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9천 명 늘며 22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공미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