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올해 3분기 누적 중저신용 대출 1조6500억원 공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카카오뱅크 제공 [파이낸셜뉴스] 카카오뱅크는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올해 3·4분기까지 8년간 개인 및 개인사업자 중·저신용 고객에게 자체 신용대출 누적 15조 원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올해 1·4분기부터 3·4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 대출은 규모는 1조 6500억원이다. 3·4분기 중저신용대출 잔액 비중 32.9%, 신규 취급 비중 35.4%를 달성해 목표치인 30%를 상회했다. 3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은 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금리 사각지대'에 놓인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포용금융을 지속하고 있다.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상품인 '중신용대출'을 최저 3%대 금리로 공급해 중저신용 고객의 금융 비용 부담 완화에도 기여했다. 포용금융과 함께 건전성도 확보했다.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음에도 카카오뱅크의 3·4분기 연체율은 0.51%로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기사 본문
잔액 기준 토스뱅크 35.2%·케이뱅크 33.1%·카카오뱅크 32.9% 신용평가모델 고도화 동시에 건전성 지표 관리 나서 인터넷전문은행 3사 전경 및 사무실 모습. [사진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인뱅 3사)가 올해 3분기 잔액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30%를 모두 넘겼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뱅 3사의 올해 3분기 잔액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토스뱅크 35.2% ▲케이뱅크 33.1% ▲카카오뱅크 32.9%다. 이들 인터넷전문은행의 목표치 비중은 30%로, 3사 모두 목표치를 넘겼다. 업력 짧지만…토스뱅크, 중저신용대출 비중 35% 훌쩍 우선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개월 평균 잔액 기준 35.2%로, 2024년 새 기준 도입 이후 7개 분기 연속 목표 초과 달성했다. 신규취급액 비중은 43.7%를 기록하며, 3개월 간 취급한 신용대출의 절반 가까이 중저신용자 포용에 앞장...
기사 본문
3분기 신규취급액 토스뱅크 43.7%, 카카오뱅크 35.4%, 케이뱅크 33.9% 잔액기준은 토스뱅크 35.2%, 케이뱅크 33.1%, 카카오뱅크 32.9% [서울=뉴시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올해 3분기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신규취급액 기준 토스뱅크 43.7%, 카카오뱅크 35.4%, 케이뱅크 33.9% 순으로 집계됐다. 잔액 기준으로는 토스뱅크 35.2%, 케이뱅크 33.1%, 카카오뱅크 32.9%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신용평점 하위 50% 이하)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통일했다. 올해부터는 신규 취급액 30% 이상 기준을 의무화했다. 28일 각사에 따르면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비중은 35.2%(3개월 평균 잔액 기준)로, 지난해 새 기준 도입 이후 7개 분기 연속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기사 본문
잔액 기준 카카오 32.9%·케이 33.1%·토스 35.2% 인터넷 전문은행 (PG) [구일모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올해 3분기 3개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모두 목표 수준인 30%를 넘어섰다. 28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3분기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카카오뱅크 32.9%·케이뱅크 33.1%·토스뱅크 35.2%로 집계됐다.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평균)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개인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금융 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잔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3분기 신규취급액 기준으로도 카카오뱅크가 35.4%, 케이뱅크 33.9%, 토스뱅크 43.7%로 목표치인 30%를 넘어섰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통일했다가, 올해부터 '신규취급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