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화오션 美 계열사 제재…마스가 프로젝트 견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화필리조선소 등 5곳 제재 대상 "미국과 협조해 中 발전 이익해쳐" 한·미 조선 협력 사업 ‘긴장 고조’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미·중 무역 전쟁이 다시 불붙은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를 겨냥한 제재에 나섰다. 미국이 잃어버린 해양패권을 되찾기 위해 한국 조선업체와 협력에 나서자 중국이 이를 차단하고자 규제에 나선 것이다. 이번 제재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도 제동이 걸릴 거란 우려도 나온다. 14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대(對)중국 해사·물류·조선업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에 반격하기 위해 한화오션 산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반제재 조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방문한 한화 필리조선소를 포함해 한화해운,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해운홀딩스, HS USA홀딩스 등이 반제재 목록에 포함된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의 해사(海事)·물류·조선업에 대해 301조 조사를 실시하고 조치를 취한 것...
기사 본문
[서울신문 나우뉴스] 중국 정부가 한국 조선업체인 한화오션(오른쪽)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중국 정부가 한국 조선업체인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중국이 한국 기업을 공개적으로 제재 대상에 올린 것은 미·중 관세 전쟁 시작 이후 처음이다. 중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 왕원타오 부장(장관)령의 ‘한화오션의 5개 미국 관련 자회사에 대해 반제 조치 결정’을 발표하고 이날 즉시 시행한다고 밝혔다. 제재 대상 업체는 한화쉬핑과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이 방문한 바 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 등 다섯 곳이다.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조직·개인이 이들 업체와 거래·협력 등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와 관련해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해사·물류·조선업 분야의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
기사 본문
'반격-재반격' 판키우는 美·中…보복대상 된 한국 中, 한화오션 美자회사 5곳 제재 "美와 협력하면 제재 확대" 경고장 中 철강·소재 쓰는 조선사 압박땐 韓선박에 수수료 부과 가능성도 미국투자 늘리는 HD현대重 긴장 '乙'신세 한국, 대응 카드 없어 美, 차 운반선 입항때마다 12.7억 차관세 25% 이어 물류비 '이중고' 다른 산업으로 전선 확대될 우려 “중국을 적대시하는 미국 정부와 협력하는 한국 기업에 대한 경고장이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14일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계열사 다섯 곳에 제재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해 이같이 분석했다. 한화오션 제재는 시작일 뿐 미·중 무역전쟁의 진행 상황에 따라 제재 범위와 대상은 얼마든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게 정 교수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중국 기업과 거래가 많지 않은 한화오션에 대한 제재는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MASGA(마스가·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등...
기사 본문
한화오션 美 자회사 5곳 제재 대상 美中 무역전쟁 심화…해양분야 기싸움 “당장 피해 크지 않을 것…지켜봐야”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콕 집어 제재 대상에 포함한 것은 한미 조선업 동맹을 집중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한화오션은 국내 조선업체 중 유일하게 미국 현지에 조선소를 보유한 업체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핵심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중국의 이번 제재로 한화오션이 당장 받을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제재 대상에 포함된 한화필리조선소 등 미국 소재 계열사 5곳은 중국과 직접적인 사업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소로 범위를 넓히더라도 중국 선주들로부터 선박 건조 주문을 수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한화필리조선소 전경.(사진=한화.) 다만 중국이 향후 어떻게 제재 수위를 높일지는 관건이다. 국내 조선소와 공급망 차원에서 제재를 가할 경우에는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