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총리 "K-뷰티 수출 허브 조성…안전성 평가제도 도입"(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방정부와 민간 함께 참여…규제혁신·절차 간소화 추진" 제조공장·전시 둘러보며 관심…AI 피부진단 직접 체험도 김민석 총리, 국가정책조정회의 주재 (음성=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가 27일 충북 음성군 코스메카코리아에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11.27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한국 화장품의 수출 확대 문제와 관련, "고부가 가치 신소재 개발과 인력 양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K-뷰티의 파급력을 K컬처 전반으로 확산시켜 수출 전략 품목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충북 음성의 화장품 제조업체 공장에서 열린 제6회 국가조정정책회의에서 "성장 사다리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온오프라인 현지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을 지원할 때"라며 "수출 허브를 구축하...
기사 본문
K뷰티 수출 성과 제고 및 확산방안 발표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K-뷰티 수출 성과 제고 및 확산방안'이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보건복지부는 27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K-뷰티 수출성과 제고 및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이순배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이 26일 세종청사에서 'K-뷰티 수출성과 제고 및 확산방안'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중기부 K뷰티로 상징되는 화장품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수출 품목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위상 또한 수출 국가 3위, 미국 수입 화장품 점유율 1위 등 높은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이 는 기획·생산·유통 등 전문기업 분업화로 혁신이 활발하고, 세계 최고 수준 제조역량, 한류와 결합한 강력한 해외 마케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최근 글로벌 보호무역과 비관세 수출규제, 경쟁국 추격 등은 K뷰티의 지속성을 위협하고 있어 이번 대책이 마련됐다. 우선 청...
기사 본문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18회 KITA 해외마케팅 종합대전'에 화장품이 진열돼 있다. 기사내용과 무관./사진=뉴스1. 중소벤처기업부가 한국 영화, 음악 등 이른바 한류 열풍과 함께 늘어나고 있는 한국 화장품 수출 지원에 나선다. 중기부와 보건복지부는 27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한국 화장품 세계 진출을 돕는 'K-뷰티 수출성과 제고 및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K-뷰티로 상징되는 화장품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수출품목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위상도 수출국가 3위, 미국 수입화장품 점유율 1위 등 높은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다만 최근 글로벌 보호무역과 비관세 수출규제, 경쟁국가 추격 등은 K-뷰티의 지속성을 위협하고 있어 정부가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K-뷰티 수출 성과 제고 및 확산방안' 을 마련했다. ━ K-뷰티 브랜드 300개 발굴…재외공관 거점으로 수출 전진기지 구...
기사 본문
정부가 이른바 'K-뷰티'로 불리는 국내 화장품 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보건복지부는 오늘(27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K-뷰티 수출성과 제고 및 확산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국내 화장품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수출품목 연속 1위를 기록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수출국가 3위, 미국 수입화장품 점유율 1위 등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는 우선 K-뷰티 글로벌 진출과 성장 촉진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청년 뷰티 등 브랜드 창작자 300개사를 발굴하고 강한 소상공인 500개팀을 내년 선발해 창작자·스타트업 간 협력과 융합 방식의 강한 수출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입니다. 해외 마케팅 준비를 위한 수출바우처, 해외 소비자와 바이어를 직접 만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수출컨소시엄 등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도 집중 연계·지원할 계획입니다. 또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은 온라인 시장을 기반으로 신시장을 개척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