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 2만 5천 명 넘어…업계 "현실 반영 필요"

2025년 11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1개
수집 시간: 2025-11-28 01:48: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SBS 2025-11-27 14:44:17 oid: 055, aid: 0001311500
기사 본문

▲ 서울복합물류센터 전경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3차 회의를 하루 앞두고,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 5천 명을 넘었습니다. 오늘(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오늘 오후 1시 30분 기준 동의 2만 5천100명을 돌파했습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며 "국회·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다음 달 13일까지 5만 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됩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 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여론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편리함의 다른 측면에서 새벽...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1-27 13:24:15 oid: 002, aid: 0002416289
기사 본문

[새벽배송 논란, 현실과 과제] ③ 이승윤 중앙대 사회복지학 교수 야간노동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의학적 정설이다. 야간노동 규제는 국제적 대세다. 한국으로 눈을 돌리면, 산업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거의 이뤄진 듯 보였다. 그러나 최근 새벽배송 논란이 그 합의가 어떤 영역에서는 단단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균열은 왜 생겼을까. 모두가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데 있어 우리가 놓친 것은 무엇이며,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 실마리를 찾기 위해 <프레시안>은 전문가와 활동가들에게 새벽배송 논란을 지켜보며 한 생각을 물으려 한다. 편집자 이승윤 중앙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새벽배송 문제를 오래 들여다 본 연구자다. 올해도 쿠팡의 로켓배송을 소재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노동통제와 사용자 책임 은폐 매커니즘을 다룬 공저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 <보이지 않는 노동자들>에서도 새벽배송은 한 장을 차지한다. 새벽배송에 대한 이 교수의 관심은 독일 베를린 체류 당시의 경험과...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27 14:46:10 oid: 088, aid: 0000983737
기사 본문

국민 청원은 게시 후 30일 이내 5만명의 동의자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로 자동 회부 "새벽배송 덕분, 이미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국회와 정부가 특정 단체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 찾아야" 국민청원 화면 갈무리. '새벽배송 금지'(0~5시)를 둘러싼 민주노총과 정부, 택배업체들의 논의(사회적대화기구)가 오는 28일 예정된 가운데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5000명을 돌파했다. 국민 청원은 게시 후 30일 이내 5만명의 동의자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로 자동 회부되는데, 청원 게시 2주 만에 '5부 능선'을 넘은 것이다. 소비자들의 반대 목소리는 커지고 있지만, 정작 하루 앞으로 다가온 대화기구에서 소비자와 택배기사 유관단체 등은 빠진 채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정오 2만5000명을 넘어섰다. 청원인은 "저는 중학생과 초등학생 두 자녀를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7 14:13:54 oid: 001, aid: 0015765784
기사 본문

28일 3차 회의…"소비자·기사 등 당사자 빠졌다" 지적도 서울복합물류센터 전경 [촬영 곽효원]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3차 회의를 하루 앞두고,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5천명을 넘었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동의 2만5천100명을 돌파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며 "국회·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된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