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씨를 말리려는 것 같다"…날벼락 맞은 무주택자들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0-18 23:30:1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경제 2025-10-17 15:20:17 oid: 015, aid: 0005198290
기사 본문

서울에 있는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매물이 게시돼 있다. 사진=뉴스1 “그냥 전세를 없애려는 것 같아요. 이젠 씨가 마를 거 같네요.” “전세의 월세화를 유도한다고 하지만, 늘어나는 주거비는 어떻게 감당합니까?”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된 뒤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와 카카오톡 단체채팅방 등에서는 이 같은 말들이 오가고 있다. 이번 대책으로 전세 물건 감소 추세가 이어지며 임대차 시장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앞으로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도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전·월세 시장 불안이 커지며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세 씨가 마른다" 17일 중개업계에 따르면 서울 소규모 아파트뿐만 아니라 1000가구 이상 대단지도 전세 물건이 대폭 감소하는 추세다. 마포구 도화동에 있는 1021가구 규모의 ‘도화현대1차’ 아파트는 전세 물건이 단 2가구(전용면적 54㎡ 1가구·147㎡ 1가구)뿐이다. 초대형 단지도 상황은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7 17:59:18 oid: 015, aid: 0005198450
기사 본문

아파트 매매 막히자 전세 물량 '실종' '실거주 의무' 규제 직격탄 맞아 월세도 껑충…주거비 부담 늘듯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으로 묶이자 임대차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주택 매매 때 ‘실거주 의무’가 적용돼 전세 물건이 급감할 가능성이 높다. 내년 수도권 아파트 준공 물량도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전세난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2만4418가구로, 1월 초(3만1814가구)보다 23.2% 줄었다. 수급 불균형에 전셋값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2% 오르며 37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25개 자치구 모두 전셋값이 올랐다. 월세도 빠른 속도로 뛰고 있다.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지수는 129.7을 기록했다. 관련...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18 14:55:05 oid: 417, aid: 0001107365
기사 본문

10·15 부동산대책 파장… 전세대출 규제에 월세화 가속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첫날인 16일 오후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정부는 지난 15일 수도권·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주택 가격에 따라 기존 6억원에서 2억원까지 축소하는 내용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사진=뉴시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에 전세 시장이 얼어붙었다. 내년 새 학기를 앞두고 가을 이사철이 시작되면서 전·월세 시장 불안이 커지는 모습이다.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전날 기준 2만4418가구로 1월 초(3만1814가구)보다 23.2% 줄었다. 지난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2% 오르며 37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25개 자치구 모두 전셋값이 올랐다.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된 뒤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0-17 11:56:20 oid: 021, aid: 0002743306
기사 본문

■ 10·15 부동산대책 파장… ‘갭투자 봉쇄 D-3’ 시장 혼란 매도인이 집 파는 동시에 세입자로 거주 ‘주인전세’ 속출 매매가 8억 용인 아파트 주인 “전세 사는 조건, 1억대로 협상 토허구역 묶이기 전 매도해야“ 내년5월내 안팔면 양도세 중과 자녀에 집팔고 전세로 거주 등 가족간 직거래 사례까지 등장 집값 꺾일까…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가득해 보인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와 9·7 공급대책에 이어 발표한 이번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뉴시스 직장인 A 씨는 17일 경기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전용면적 59㎡짜리 아파트를 내놓았다. 매매가는 8억 원이었지만 실제로 매수인에게 받겠다고 제시한 돈은 1억5000만 원이었다. 단 집을 판 후 해당 아파트에 A 씨가 세입자로 계속 사는 조건이다. 계약...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