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올랐다" 좋아했는데 날아든 고지서...종부세 대상자 8.1만명 급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뉴스1) 이호윤 기자 = 사진은 24일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2025.11.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호윤 기자 집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해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과세 대상자가 1년 만에 8만명 이상 늘었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62만9000명에게 5조3000억원 규모의 종부세가 고지됐다. 과세 대상자는 지난해보다 8만1000명(14.8%) 늘었다. 고지세액은 3000억원(6.1%) 증가했다. 기재부는 종부세 대상자가 늘어난 것을 두고 "올해 종부세 제도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택 신규 공급,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 전국 토지 공시지가 상승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2022년 128만3000명까지 늘었던 종부세 대상자는 2023년 49만5000명으로 급감했다...
기사 본문
올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이 1년 새 17% 늘었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한 영향이다. ‘똘똘한 한 채’ 선호에 비싼 집이 더 비싸지면서 내년에도 세 부담이 늘 거란 전망이 나온다. 26일 기획재정부·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주택 종부세 고지 인원은 54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8만 명(17.3%)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주택 보유자(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 기준 1597만6000명)의 3.4%가 종부세를 내는 셈인데, 1년 전(2.9%)보다 비중이 0.5%포인트 늘었다. 윤석열 정부가 ‘부동산 세제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2022년 122만 명이던 종부세 납세 대상(주택분 기준)이 2023년 41만 명으로 대폭 줄었는데, 이후 다시 느는 추세다. 특히 올해 기준 서울 대상자만 32만8000명으로 전체 과세 인원의 60.7%에 달한다. 전국 17개 시·도 중 증가율(21%)도 가장 높다. 전년 대비 서울의 종부세 고지액 증가율은 17.6%로 전국(6.3%)의 3배 수준...
기사 본문
- 국세청, 2025년 종합부동산세 고지서 발송 개시 - 11월 24일부터 발송…12월 15일까지 납부해야 ◆…(사진=Freepik) 국세청이 2025년 귀속분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에게 납부고지서와 안내문을 순차적으로 발송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세청에 따르면 이번 종합부동산세 납부세액에는 농어촌특별세가 포함되며 세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별도의 이자상당가산액 부담 없이 최대 6개월까지 분납할 수 있다. 납세자는 고지된 세액을 오는 12월 15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납세자는 홈택스를 통해 간편하게 분납을 신청할 수 있으며 전체 고지세액에서 분납세액(2026년 6월 15일까지 납부)을 제외한 금액만 납부하면 된다. 또한 1세대 1주택자 중 만 60세 이상 고령자 또는 5년 이상 보유한 장기보유자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고 납세담보를 제공하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부를 유예할 수 있다. 납부유예는 주택의 양도나 증여 상속 등 사유가 발생할 때까지 적용되며 신청기한은 12월 12일까...
기사 본문
서울에서만 6만명 가까이 늘어 원베일리 84㎡ 종부세 984만원 국민일보DB 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올해 주택 종합부동산세 고지 인원이 지난해보다 8만명(17.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집값이 크게 오른 서울에서만 6만명 가까이 늘었다. 26일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종부세 과세인원은 62만9000명으로 이중 주택분 종부세 부과 대상은 54만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종부세 고지세액은 5조3000억원으로 3000억원(6.1%) 늘었고, 주택 고지세액은 1조7000억원으로 1000억원(6.3%) 증가했다. 서울 지역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서울 지역 종부세 대상자는 전년 대비 5만9000명(21.0%) 늘어난 32만8000명이다. 증가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다. 서울 고지 총액도 8253억원으로 전년 대비 17.6% 증가했다. 종부세제 개편이 없었던 만큼 공시가격 상승분이 오롯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올해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